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22일 열린우리당 당적을 정리하겠다는 뜻을 공식 표명하고, 조만간 '당원들에게 드리는 편지' 형식을 통해 이같은 결정의 이유를 설명한 뒤 이달중 탈당절차를 마무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명숙(韓明淑) 총리도 노 대통령 탈당을 계기로 총리직에서 물러나 당으로 복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한 총리는 민생.개혁 입법안 처리를 위한 임시국회가 종료되는 내달 6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할 예정이어서 후임 총리 인선은 6일 이후 이뤄질 전망이다.

당초 대통령 탈당과 총리 교체를 계기로 일부 부처 장관까지 바꾸는 후속 개각이 예상됐지만, 노 대통령은 정치인 출신 장관들의 경우 굳이 교체할 필요가 있겠느냐며 개각에 부정적 입장을 밝혀 개각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노 대통령은 이날 저녁 청와대에서 가진 열린우리당 지도부 초청 만찬에서 "대통령의 당적 문제와 관련해 우리당내에 찬반양론이 있어 망설임이 있었다"고 전제한뒤 "그러나 당내에 일부라도 대통령의 당적 정리 주장이 있는 이상 당내 갈등의 소지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며 당적 정리 의사를 천명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대통령은 단임 대통령으로서, 차기 대선의 당사자가 아니다"라며 "그럼에도 선거를 위해 대통령을 정략의 표적으로 삼아 근거없이 공격하는 잘못된 정치풍토가 우려된다.

대통령의 당적 정리로 이런 정치풍토가 개선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탈당을 위한 행정적 절차와 관련, "당적을 정리할 때 정리하더라도 아직은 당원 신분인만큼 당원들에게 한번쯤 편지형식으로 심경을 전하는게 좋지 않겠느냐"면서 "그런 절차를 거친 이후 이달안으로 당적 문제를 정리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지난 11일 노 대통령의 유럽순방 출국일 대통령의 당적정리 문제를 협의하면서 이미 총리직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히면서 "그러나 대통령께서 민생현안을 다루는 임시국회가 중요한 만큼 임시국회 이후, 3월6일 이후로 퇴임을 미루는게 좋지 않겠느냐고 해서 그러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에 따라 임시국회 폐회 후인 내달 7일께 총리직에서 물러날 것으로 보이며, 이 시점을 전후해 후임 총리 인선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후임 총리는 국회 인준 절차를 거쳐야 정식 임명되기 때문에 한 총리 퇴임후에는 당분간 권오규(權五奎) 부총리겸 재경부 장관이 총리 권한대행을 맡게 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한 총리 교체에 따른 후속 개각과 관련, "총리 교체를 계기로 이번에 개각을 한다는 방침은 없다"면서 "정치인 출신 장관은 당사자의 뜻을 존중한다는 입장이어서 본인이 당으로 복귀하겠다는 뜻을 밝힌다면 모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내각에 잔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시민(柳時敏) 보건복지, 이상수(李相洙) 노동, 박홍수(朴弘綬) 농림부 장관 등 정치인 출신 장관들은 모두 내각에 남겠다는 뜻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비(非) 정치인 출신 장관들중에서도 현 시점에서는 개각요인이 없다는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노 대통령도 이날 만찬에서 이상수 노동, 박홍수 농림장관 등의 거취를 묻는 한 의원의 질문에 대해 "장관까지 내놓고 그럴 필요가 있겠느냐. 총리 문제로 정리가 됐으면 됐지"라고 답변, 사실상 유임시킬 방침임을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성기홍 김재현 이상헌 기자 sgh@yna.co.krjahn@ynahoneyb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