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이 붕괴되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가지 지표에서 명확히 나타난다.

우선 중산층에 대한 주관적인 귀속감을 묻는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통계청이 올해 전국 3만3000가구를 조사해 발표한 '2006년 사회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득 직업 교육 재산 등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해 가구주의 53.4%가 자신을 '중간층'이라고 대답했다.

이는 2003년 조사 때보다 2.8%포인트 줄어든 것이다.

'하층'이라고 응답한 가구주는 45.2%에 달해 3년전보다 2.8%포인트 늘어났다.

중산층의 감소는 실제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정한 중산층인 '중위소득(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 소득) 수준의 50~150%인 계층'은 외환위기 직전인 1997년 64.8%였으나 2005년에는 59.5%로 줄었다.

이 기간중 중산층에서 탈락한 5.3%포인트 가운데 1.7%포인트만 상위층으로 이동했고 대다수인 3.7%포인트는 빈곤층으로 전락했다.

인구수로 보면 하층으로 174만7000여명,상위층으로 94만5000여명이 이동했다.

중산층은 줄고,상·하위층은 늘면서 허리가 가는 형태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OECD 회원국의 중산층은 평균 71%로 한국보다 두텁다.

중산층의 비율만이 아니다.

중산층의 고소득층 대비 소득점유율도 점차 낮아지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이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 1~6차조사(1998~2004년)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중산층이 전체 가구의 소득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99년과 2000년 당시에는 39.5%였으나 이후 36.4% 수준으로 낮아졌다.

반면 고소득층의 경우는 51% 수준에서 55% 수준으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중산층의 제반 사회경제적 여건이 상위층에 비해 전반적으로 취약해지고 있다는 얘기다.

외환위기 이후 지속된 노동시장의 구조조정과 자영업 위기,부동산 및 금융자산 양극화 등의 여파로 중산층이 붕괴 또는 해체까지는 아니더라도 위기에 처해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고 LG경제연구원은 밝혔다.

'중산층 위기' 상황은 삼성경제연구소의 양극화지수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연구소가 '전 가구 기준 경상소득'을 중심으로 산정하는 양극화지수는 2000년 0.562에서 출발해 2002년까지 비슷한 추세를 유지하다 2003년부터 상승하기 시작해 2004년 0.0665에 달했다.

양극화지수는 높을수록 양극화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같은 수치는 영국(0.0653)과 비슷하고 미국(0.0883)보다는 낮지만 일본(0.0507)이나 독일(0.0474) 프랑스(0.0434)보다 높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