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장 김만복 윤광웅 이종백, 국방 김장수 배양일 장영달

내달 2일께 전면개편..秋건교 교체여부 연말연초에 결정될듯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국회 국정감사가 끝나는 내달 2일께 사의를 표명한 통일, 외교, 국방장관과 국정원장 후임자를 지명하는 등 정부 외교안보라인의 전면적 개편을 단행할 방침인 것으로 29일 알려졌다.

새 통일부장관에는 김하중(金夏中) 주중대사, 이재정(李在禎)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이 2배수 후보군에 포함됐고, 국방장관은 군 출신인 김장수(金章洙) 육군참모총장, 배양일(裵洋一) 전 공군참모차장과 문민장관 후보로 장영달(張永達) 열린우리당 의원이 3배수 후보로 압축된 것으로 전해졌다.

후임 국정원장에는 김만복(金萬福) 국정원 1차장, 윤광웅(尹光雄) 국방장관, 이종백(李鍾伯) 서울 고검장 등 3명의 후보로 압축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장관에는 송민순(宋旻淳) 청와대 안보실장이 유력한 가운데 김하중(金夏中) 주중대사와 유명환(柳明桓) 외교통상부 제1차관도 후보로 올라 있는 상태이다.

송민순 안보실장이 외교장관으로 발탁될 경우 후임 안보실장에는 김하중 주중대사, 이수혁(李秀赫) 주독일대사, 서주석(徐柱錫) 청와대 안보수석 등이 물망에 올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국정감사가 끝나는 시점을 전후해 사의를 표명한 외교안보팀 후임자들을 발표할 방침"이라며 "현재 해당 장관별로 후보를 2∼3배수로 압축한 상태로 동렬에 놓고 검증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 대통령은 신도시 조성 사실을 성급하게 발표해 시장교란을 가져와 문책론이 제기되고 있는 추병직(秋秉直) 건교부 장관은 이번 외교안보팀 개편 때는 포함시키지 않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추 장관이 신도시 계획 발표 과정에서 아쉬운 대목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인책으로까지 갈만한 사항은 아니라고 판단되며, 신도시 계획 발표 후속대책을 챙기기 위해서 이번 개편에는 포함시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추 장관은 이번 외교안보라인 개편 때 교체되지 않고 유임될 것으로 보이지만, 연말연초 정치인 출신 장관들의 당 복귀를 계기로 단행될 것으로 전망되는 후속 개각 때 교체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성기홍 기자 sg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