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기획 PR 기사입니다 >

지금 당장 아주 작은 구멍을 막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작은 말목이 필요하다.

그런데 큰 나무로 이 구멍을 막으려면 나무를 쪼개서 끝을 뾰족하게 만드는 공정을 거쳐야 한다.

다시 말해 큰 나무로 작은 구멍을 막으려면 비용과 시간이 훨씬 더 들어간다는 얘기다.

이는 국가경제에서도 마찬가지다.

나라 경제에 조그마한 구멍이 뚫렸을 때 이를 한시바삐 막아야 한다면 중소기업이 이를 막아줘야 한다.

대기업이 그곳을 메우려면 비용과 시간이 엄청나게 더 들어간다.

이것이 중소기업의 존재 이유 중 하나다.

'삼성'과 '현대' 같은 대기업이 국가경제에 꼭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중소기업의 역할까지 대신할 수는 없다.

규모에 반비례해 작고 섬세한 부분까지 신경 쓸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점에 착안해 중소기업도 '작지만 강한' 기업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덩치가 작아서 큰 기업이 될 수 없다는 법은 없다.

오히려 대기업이 파악하지 못하는 고객의 작은 요구(Needs)를 파악하고, 신의와 신뢰를 기반으로 지역밀착 경영을 펼쳐 강점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작은 고추가 맵다'라는 말을 실감나게 하는 중소기업들이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

'Small is Powerful'이 된 것이다.

그렇다면 작은 기업이 강해질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작지만 강한 기업들의 평범하지만 특별한 성공비결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특화하라=작은 기업일수록 남들이 흉내 내기 어려운 경쟁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

뭐든 한 분야에서 특출한 장기(長技)를 지녀야 한다는 얘기다.

그러려면 특화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작은 기업은 큰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원이 적기 때문에 특정 분야에 집중해야 성공확률이 높다.

△역시 기술이다=중소기업에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는 게 바로 기술이다.

사실 고유한 기술경쟁력이 없다면 중소기업으로서 생존 자체가 불가능하다.

나만의 기술경쟁력을 가지려면 투자를 해야 한다.

매출액의 일정비율을 신기술이나 신제품 개발에 쓰는 건 기본이다.

또 고급 기술ㆍ기능 인력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해 회사 안에 기술노하우가 축적되도록 해야 한다.

△사람에 투자하라=중소기업 입장에서 핵심 기술자와 기능 인력들의 잦은 이동은 가장 큰 경영애로 중 하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직원들의 복지와 재교육 등에 과감히 투자해 성취동기를 높여 줘야 한다.

직원들의 사기를 외면하면 내부에서 적을 키우는 꼴이 된다.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열악한 근무환경이 문제가 되고 그 와중에 인력의 이탈현상도 심하다.

그 경우 기업의 핵심역량은 흔들리게 마련이다.

도무지 방향을 종잡을 수 없는 금융정책, 요동하는 증권시장, 그리고 들먹거리는 물가….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불확실성'의 시대에서 몸집은 비록 작지만 매운 맛은 강한 내실 있는 기업들은 이렇게 자신들만의 '성공방정식'을 써내려가고 있다.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차별화전략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强小' 기업. 특히 이들 기업을 이끌고 있는 CEO들의 시장 개척사는 눈물겹다.

숱한 좌절과 절망을 극복하고 국내시장에서, 또 세계시장에서 'Made in Korea'의 전도사 역할을 하고 있는 '强小' 기업 CEO들의 경영전략과 해외시장 개척사례 등을 들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