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당국은 외환은행이 2003년 11월 외환카드를 흡수합병하는 과정에서 주가조작 혐의가 있다며 조사에 나섰습니다.

금융감독당국 관계자는 "외환은행이 당시 외환카드 합병과 관련, 감독당국에 감자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불공정거래 혐의 여부에 대해 조사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금감원의 조사가 제대로 이뤄질 지는 의문이라는 게 금융권의 분석입니다.

외환은행이 외환카드의 합병과 감자승인을 요청했던 2003년 당시 금융감독 실무를 맡았던 국장급들이 현재 금감위의 고위 관계자들이기 때문입니다.

외환은행의 론스타 인수와 더불어 외환카드 합병을 추진했던 지난 2003년 11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금감위에서 카드정책을 담당했던 관계자는 바로 윤용로 현 금감위 상임위원입니다.

또, 당시 은행감독 정책을 맡았던 관계자가 김석동 현 재정경제부 차관보라는 점에서 결국 금감위의 조사가 제대로 이뤄질 지 의문이라는 게 금융권의 분석입니다.

2003년 1차 카드대란이후 외환은행 뿐 만 아니라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등에게 카드부문을 은행으로의 흡수합병을 강력히 요구했던 곳이 바로 금융당국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금감위 금융정책2국과 금감원 증권검사국이 자신들의 현재 상급자인 금감위 상임위원과 재경부 차관보에 대해 관련 사항을 조사하기는 어렵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입니다.

론스타가 외환은행으로의 외환카드 흡수 합병을 선언한 후 감자 승인 등을 금융당국에 보고하지 않았을 리가 만무하기 때문입니다.

당시 국민은행이 국민카드의 합병을 추진할 당시 노조의 반발도 컸지만, 국민은행 이사회에서도 합병 승인에 대한 내홍을 겪으면서 격론이 벌어졌기 때문입니다.

외환은행측은 실제 외환카드 합병 때는 감자를 하지 않았고, 론스타는 합병의 카드로 당시 외환카드 2대 주주였던 올림푸스 캐피탈의 지분을 인수했습니다.

이 당시 론스타와 올림푸스캐피탈은 마라톤 협상을 진행하면서 당시 김중회 금융감독원 부원장이 협상에 참여해 주선하기도 하면서 양측의 양보를 받아낸 바 있습니다.

이로 인해 외환카드의 1대 주주가 외환은행였다는 점에서 론스타의 올림푸스 캐피탈의 지분 인수 역시 금융당국의 묵인이 없었을 리 없기 때문입니다.

결국 외환은행의 주가조작에 대한 금융당국의 조사는 먼저 금융당국자들의 합병 승인과정 실체부터 파헤쳐야 한다는 게 금융권의 지적입니다.

양재준기자 jjyan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