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 통합법에 이어 나온 보험제도 개편안은 국내 금융산업에 '빅뱅'을 예고하고 있다.

2008년 시행되는 자본시장 통합법은 은행 보험 증권 선물 자산운용 간 칸막이를 모두 없애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국의 골드만삭스처럼 자본시장 관련 금융업을 모두 할 수 있는 금융투자회사를 육성하겠다는 정책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이날 발표된 보험제도 개편안도 보험사에서 은행 상품을 팔고 투신사 업무영역인 투자자문업과 투자일임업까지 할 수 있도록 허용,보험이 은행과 투신의 일부 업무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마침내 자본시장에서 무한경쟁 시대가 열린 것이다.

한국금융연구원 이지언 박사는 "자본시장통합법과 보험산업 개편안은 모두 규제개혁과 투자자보호 강화를 통해 금융혁신과 경쟁을 촉진해 자본시장에서의 금융빅뱅을 유도하자는 게 근본 취지"라며 "금융사가 자유롭게 은행 신탁 보험 증권 업무 등 모든 금융업무를 행할 수 있는 유니버설 뱅킹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빅뱅은 먼저 짝짓기와 인수·합병(M&A)을 통해 현실화될 전망이다.

보험사들은 당장 예·적금을 팔기 위해 은행들과 짝짓기를 해야 한다.

은행과 보험 모두 당장의 판매보다는 장기적인 제휴관계를 염두에 두고 상대를 물색한다는 전략이다.

따라서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 리딩뱅크와 손을 잡기 위한 물밑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또 금융사 간 무한경쟁이 예고된 만큼 규모의 경제를 위한 M&A와 겸업화를 위한 금융지주사 설립 돌풍도 예고되고 있다.

생보·손보 간 겸영 확대와 보험사에 지급결제 기능을 주는 방안도 중장기 과제로 넘어가긴 했지만 도입은 시간문제라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은행 예·적금을 팔고 투자자문업을 할 수 있게 된 것은 보험업계로선 기회지만 생·손보사 간 겸영과 교차판매 등은 보험업계의 판도를 단번에 바꿀 수 있는 위기 요인"이라며 "보험업계의 취약한 경쟁구조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했다.

금융계 관계자는 "결국에는 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사들이 모두 비슷한 상품과 서비스를 들고 무한경쟁을 펼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상당수 금융사들이 도태되고 금융시스템이 불안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개정 보험업법과 자본시장 통합법이 시행에 들어가면 보험 은행 증권 등 금융사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이 비슷해져 경쟁이 격화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지나친 경쟁으로 금융사의 수익성이 악화돼 금융 시스템이 불안해지는 현상이 빚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후유증을 최소화하면서 금융사의 체질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