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품용 상품권 발행업체 지정 업무를 담당하는 한국게임산업개발원이 문화관광부 영상물등급위원회와 더불어 '바다이야기 사태' 논란의 핵으로 떠올랐다.

바다이야기를 비롯한 도박게임장에서 상품권은 곧 현금이다.

이 상품권 발행 업체를 지정해주는 게임산업개발원이 막강한 권한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게임산업개발원은 당초 게임산업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1999년 문화부 산하기관으로 설립됐다.

이번에 논란이 되고 있는 경품용 상품권 발행업체 지정 업무는 지난해 문화부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실행해왔다.

게임산업개발원은 "상품권 발행업체 지정 과정을 낱낱이 캠코더로 동영상을 촬영해 놨다"며 비리가 개입할 여지가 없었다고 말한다.

문제가 될 경우 이 동영상을 증거자료로 제출,지정 과정이 투명하게 이뤄졌음을 입증하겠다는 것.게임산업개발원 상품권지정팀 김영민 팀장은 "지정 심사 때는 확인심사 점검표에 따라 회계사 전산전문가 등 외부 전문가 4명 이상이 참여한다"며 "이들의 공통된 의견으로 지정이 결정되기 때문에 외압이 개입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게임산업개발원 관계자는 "처음 상품권 지정 업무를 시작할 때부터 업무 성격상 한번쯤 문제가 될 것이란 내부 인식이 있었다"며 "이럴 경우 내부 직원이 비리에 연루되면 끝이라고 생각해 처음부터 내부에 외압 및 뇌물 신고센터를 만드는 등 문제가 될 소지를 없애려고 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7월 상품권 발행업체 지정업무를 시작한 게임산업개발원은 전체 직원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20명을 이 업무에 투입했다.

그만큼 개발원의 핵심적인 업무라는 뜻이다.

당시 업무를 시작하자마자 개발원은 4개월에 걸쳐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의 내사를 받았다.

이후 동부지검이 상품권 발행업체들을 수사할 때 다시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를 받았다.

최근엔 게임산업개발원 우종식 원장이 'IT 분야의 노사모'로 불리는 '현정포럼'의 멤버인 것으로 밝혀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현정포럼은 '노무현 대통령을 위한 정보통신기술인의 모임'의 약자로 2002년 대선 당시 노 후보를 지지하는 20여명의 IT전문가들로 창립됐다.

하지만 우 원장은 현정포럼에 대해 "친목을 목적으로 IT업자들이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는 모임"이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문화관광부 산하기관이지만 게임산업개발원은 특별법에 설립을 명시한 법정기구는 아니다.

공무원연금도 없어 사실상 신분은 민간인이다.

하지만 국정감사를 정기적으로 받고,'정부 산하기관 기본관리법'에 의해 매년 경영평가를 받는 공공기관이기도 하다.

현재 게임산업개발원에는 40명의 정규직원과 20명 안팎의 비정규직원이 있다.

게임산업개발원은 상품권 발행업체 지정업무 개시를 전후해 10여명의 인력을 확충하는 등 사안이 생길 때마다 수시 채용을 해왔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