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회사는 러시아 정부의 우회수입 차단으로 인한 '세금폭탄'과 유럽 일본 업체들의 시장 재탈환 공세 강화로 올 들어 매출이 크게 줄어드는 등 위상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 상반기 러시아서 사상 최악의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37%의 매출신장률을 기록한 삼성전자는 러시아 진출 이후 처음으로 한자릿수 성장률에 그쳤다.
LG전자는 이보다 더해 올 상반기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절반 수준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2000년 이후 연 평균 50%의 고성장률을 기록해온 두 회사의 질주에 제동이 걸리는 분위기다.
◆우회수입 차단이 치명타
러시아 정부의 전면적 우회수입 차단이 매출 감소의 직접적 원인이다.
러시아에서 유통되는 전자제품 중 우회수입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85% 정도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업체들은 꾸준히 우회수입 비중을 줄여왔으나 여전히 비중이 30∼40%에 달하고 있는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러시아 정부가 우회수입을 전면 차단,관세를 부과하면서 현지 전자제품 가격이 15∼20%씩 상승했다.
심지어 통관절차 차질로 공급마저 제때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가격상승과 공급차질로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매출이 타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삼성전자의 경우 올 상반기 러시아 내 매출이 12억달러로 올 매출 목표 33억달러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지난해 상반기에 37%의 신장률을 기록한 것과 대조적이다.
디지털가전 비중이 높은 LG전자의 매출 타격은 더 심각하다.
러시아 매출 비중이 90%에 달하는 구 소련 독립국가연합(CIS)지역의 올 상반기 매출이 지난해 상반기의 절반 수준에 그친 것으로 잠정집계 됐다.
LG전자 내부에서조차 올해 러시아에서 마이너스 신장을 우려하는 상황이다.
◆블루오션서 레드오션으로
90년대 후반 이후 러시아 시장서 철수했던 유럽과 일본업체들이 오일달러를 노리고 시장공략에 나서고 있는 것도 국내 업체들에는 악재다.
1998년 러시아 국가부도 사태 당시 일본 등 많은 외국기업들이 철수하는 와중에도 현지에 남아있던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러시아 정부 선정 국민브랜드 20개 중 10개를 휩쓸 정도로 현지에서 막강한 위상을 자랑해왔다.
그러나 최근 유럽과 일본 업체들이 속속 현지 생산체제를 갖추고 시장 재공략에 나서면서 국내 업체들이 새로운 경쟁에 내몰리고 있다.
2004년 말 세계최대 가전업체인 스웨덴의 일레트로룩스의 현지 가전공장 가동을 시작으로 메를로니(이탈리아),베스텔(터키),보시·지멘스(독일) 등이 현재 러시아에 가전공장을 짓고 있다.
90년대 말 철수했던 소니,도시바 등 일본 업체들도 새롭게 법인을 설립한 후 엔화 경쟁력을 앞세워 공격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
국내업체들의 대응도 빨라지고 있으나 과거와 같은 위상을 지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LG전자는 9월부터 루자공장을 본격 가동하게 된다.
삼성전자는 휴대폰을 비롯 전략제품의 정상통관 전환을 마친 데 이어 현지 가전공장 설립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현지의 한 국내 전자업체 관계자는 "러시아 정부가 우회수입 전면차단에 나서면서 일대 혼란이 일고 있다"며 "이로 인한 국내 전자제품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된 데다 업체 간 경쟁까지 격화되고 있어 러시아에서 과거와 같은 고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