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게임산업개발원이 문화관광부 영상물등급위원회와 더불어 이번 '바다이야기 사태' 논란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문화관광부 위탁으로 경품용 상품권 발행업체를 지정하는 업무를 맡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품권 불법 유통 시장이 극도로 혼탁해지고 있는 와중에 자격에 논란이 있는 업체를 상품권 발행 회사로 대거 지정해 의혹을 사고 있다.

문광부는 인증받지 않은 경품용 상품권이 대거 유통돼 문제가 되자 지난해 7월 발행업체 인증제를 지정제로 바꾸고 게임산업개발원에 지정 업무를 맡겼다.

지정제 전환 후에도 상품권 시장은 혼탁해졌다.

그런데도 개발원은 초기인 지난해 8월 7개였던 지정 업체를 1년 새 19개로 늘려 불길에 '기름'을 부었다.

정치권에서는 상품권 발행업체 인증제를 지정제로 바꾼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한나라당 진상조사특별위원회 김희정 의원은 22일 게임산업개발원을 상대로 진행한 조사에서 인증제 재심사에서 탈락한 22개 업체 중 11개를 3개월 만에 상품권 발행업체로 지정한 배경을 추궁했다.

김 의원은 "인증제를 지정제로 바꾸면 없던 자격이 생겨나 심사 대상이 되는 거냐"고 따졌다.

회장이 이해찬 전 총리와 삼일절에 골프를 쳐 물의를 일으킨 회사를 상품권 발행업체로 지정한 이유가 뭐냐는 추궁도 이어졌다.

진상조사특위 의원들은 전산조작을 해 자격미달 업체를 상품권 발행업체로 지정해준 게 아니냐고 따졌다.

게임산업개발원은 지난해 7월 상품권 발행업체 지정 업무를 맡자마자 의심을 받기 시작했다.

서울중앙지검은 4개월에 걸쳐 개발원을 내사했다.

동부지검은 상품권 발행업체들을 수사하면서 개발원 직원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게임산업개발원이 상품권 발행업체 자격을 심사할 만한 능력을 갖췄느냐 여부도 논란이 되고 있다.

개발원은 당초 게임산업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1999년 문화관광부 산하기관으로 설립됐다.

초창기에는 20여명의 직원이 주로 게임시장 정보를 수집해 자료화하고 '대한민국 게임백서'를 발간하는 일을 했다.

지난해 상품권 발행업체 지정 업무를 맡은 뒤에 10여명의 인력을 확충해 20여명이 지정 업무를 맡게 했다.

게임 정보를 수집하던 사람이나 새로 들어온 사람들이 상품권 발행 적격업체 심사 업무를 맡게 됐는데 과연 이들이 기업의 재무실태 기술력 등을 심사할 능력이 있는지 의문스럽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게임산업개발원은 정부의 산업진흥부문 공공기관 평가에서도 중하위권에서 맴돌고 있다.

2004년에는 16개 기관 중 6위,지난해에는 9위로 밀려났다.

이 같은 의혹에 대해 게임산업개발원 관계자는 "상품권 발행업체 지정 업무를 시작할 때부터 업무 성격상 한 번쯤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내부 인식이 있었다"며 "직원이 비리에 연루되면 안 된다고 생각해 처음부터 문제 소지를 없애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력만으로 의혹이 해소되긴 어려운 실정이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