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변신 또 변신!] 공기업 변신 또 변신… "고객은 즐거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진룡 전 문화부 차관의 경질 파문을 계기로 공모제 대상 공기업 사장에 대한 낙하산 인사 시비가 확산되고 있지만 공기업들의 경영 혁신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눈이 부실 정도로 빠르게 바뀌고 있다.
과거 방만경영,부실경영의 대명사라는 오명을 벗고 민간기업 못지 않은 혁신으로 체질을 개선시켜가고 있다.
그 목표는 공공성과 수익성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겠다는 것.이런 변신의 노력은 에너지 전력 전기 농업 금융 등 모든 공기업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실 공기업은 강도 높은 혁신을 단행하지 않더라도 경영에 큰 문제가 따르는 건 아니다.
정부가 위임해 준 업무를 수행하는 기업이기 때문이다.
공공적 사업을 맡고 있는 만큼 경쟁 요소도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돈을 많이 벌지 못하더라도 민간기업처럼 주주나 사회로부터 맹렬한 질타를 받지도 않는다.
이 때문에 과거 공기업과 공기업 임직원들은 복지부동의 대명사로 지적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안이한 인식과 태도는 공기업 내부에서부터 먼저 거부당하고 있다.
내부로부터 혁신을 이루지 못할 경우 도태될 것이란 위기의식이 확산되고 있다.
석유공사나 가스공사처럼 최근 민간기업 경영인 출신이 사령탑을 맡은 회사들이 변신을 주도하고 있다. 도로공사나 한국전력같은 기업들은 혁신을 통해 이룩한 새로운 시스템에서 성과를 낼 정도로 혁신이 제도화 단계에 이른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공기업에 대한 평가도 달라지고 있다.
기획예산처가 최근 발표한 2005년 17개 공기업(14개 정부투자기관과 한국가스공사,한국공항공사,인천공항공사 등)의 고객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평균점수가 80.6점으로 지난해 79.4점보다 1.2점 상승한 것으로 나왔다.
일반인을 주 고객으로 하는 기관중에서는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주택공사가 83점으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한국공항공사와 농업기반공사가 각각 82점을 받아 그 뒤를 이었다.
한국전력공사는 7년 연속 우수 공기업으로 선정됐으며 올해는 고객콜센터(전화 123)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홈서비스를 시행,옥내고장 및 정전복구 24시간 지원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또 '고객의 소리(VOC)처리보증제'를 실시해 민원처리시간을 9시간35분에서 28분으로 대폭 단축함으로써 고객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주택공사는 찾아가는 '+1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애프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임대료 연체이자율을 13%에서 9.5%로 인하하여 저소득 입주자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기관 및 기업을 주 고객으로 하는 공기업중에서는 한국가스공사와 KOTRA가 각각 85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한국관광공사 농수산물유통공사 대한석탄공사 한국수자원공사는 각각 83점으로 공동 3위를 차지했다.
2005년 기준으로 77개 정부산하기관(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고객만족도 조사에서도 평균 점수가 77.1점으로 전년도 72.5점보다 4.6점 상승했다. 평균점수 77.1점은 '만족'수준으로, 전년도에 72.5점으로 '약간 만족'수준으로 평가됐던 것에 비하면 크게 개선된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더 다그치고 있다. 지배구조를 바꿔 자율경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기업들을 서비스 조직으로 완전 개편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획처가 최근 내놓은 공공기관 혁신 종합대책에 따르면, 빠르면 오는 10월부터 224개 기관의 행정인력을 대국민 서비스업무로 대폭 전환 배치할 계획이다.
공공기관의 본사에 있는 일반행정 등 내부 지원인력을 줄여 국민들과 직접 만나는 사업소 등 현장에 재배치하고,기술직 등 서비스를 창출하는 분야의 직원 채용과 간부 비중을 더욱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또 공공성에 비추어 필요없거나 정리해야 할 자회사들도 대거 정비키로 했다.
아울러 공공기관 임원이 재임 중에 쌓은 업적이나 처벌받은 내용 등을 중앙인사위원회 데이터베이스(DB)에 차곡차곡 축적,차후 인사때 반드시 활용토록 했다.
물론 공기업이 직면한 도전도 만만치 않다.
최근 들어 정부가 일자리 확보 차원에서 공기업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조직 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칫 혁신 의지를 퇴색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최고경영자에 대한 낙하산 시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선 공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혁신 노력도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
눈이 부실 정도로 빠르게 바뀌고 있다.
과거 방만경영,부실경영의 대명사라는 오명을 벗고 민간기업 못지 않은 혁신으로 체질을 개선시켜가고 있다.
그 목표는 공공성과 수익성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겠다는 것.이런 변신의 노력은 에너지 전력 전기 농업 금융 등 모든 공기업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사실 공기업은 강도 높은 혁신을 단행하지 않더라도 경영에 큰 문제가 따르는 건 아니다.
정부가 위임해 준 업무를 수행하는 기업이기 때문이다.
공공적 사업을 맡고 있는 만큼 경쟁 요소도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돈을 많이 벌지 못하더라도 민간기업처럼 주주나 사회로부터 맹렬한 질타를 받지도 않는다.
이 때문에 과거 공기업과 공기업 임직원들은 복지부동의 대명사로 지적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안이한 인식과 태도는 공기업 내부에서부터 먼저 거부당하고 있다.
내부로부터 혁신을 이루지 못할 경우 도태될 것이란 위기의식이 확산되고 있다.
석유공사나 가스공사처럼 최근 민간기업 경영인 출신이 사령탑을 맡은 회사들이 변신을 주도하고 있다. 도로공사나 한국전력같은 기업들은 혁신을 통해 이룩한 새로운 시스템에서 성과를 낼 정도로 혁신이 제도화 단계에 이른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공기업에 대한 평가도 달라지고 있다.
기획예산처가 최근 발표한 2005년 17개 공기업(14개 정부투자기관과 한국가스공사,한국공항공사,인천공항공사 등)의 고객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평균점수가 80.6점으로 지난해 79.4점보다 1.2점 상승한 것으로 나왔다.
일반인을 주 고객으로 하는 기관중에서는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주택공사가 83점으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한국공항공사와 농업기반공사가 각각 82점을 받아 그 뒤를 이었다.
한국전력공사는 7년 연속 우수 공기업으로 선정됐으며 올해는 고객콜센터(전화 123)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홈서비스를 시행,옥내고장 및 정전복구 24시간 지원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또 '고객의 소리(VOC)처리보증제'를 실시해 민원처리시간을 9시간35분에서 28분으로 대폭 단축함으로써 고객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주택공사는 찾아가는 '+1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애프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임대료 연체이자율을 13%에서 9.5%로 인하하여 저소득 입주자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기관 및 기업을 주 고객으로 하는 공기업중에서는 한국가스공사와 KOTRA가 각각 85점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한국관광공사 농수산물유통공사 대한석탄공사 한국수자원공사는 각각 83점으로 공동 3위를 차지했다.
2005년 기준으로 77개 정부산하기관(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고객만족도 조사에서도 평균 점수가 77.1점으로 전년도 72.5점보다 4.6점 상승했다. 평균점수 77.1점은 '만족'수준으로, 전년도에 72.5점으로 '약간 만족'수준으로 평가됐던 것에 비하면 크게 개선된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더 다그치고 있다. 지배구조를 바꿔 자율경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기업들을 서비스 조직으로 완전 개편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획처가 최근 내놓은 공공기관 혁신 종합대책에 따르면, 빠르면 오는 10월부터 224개 기관의 행정인력을 대국민 서비스업무로 대폭 전환 배치할 계획이다.
공공기관의 본사에 있는 일반행정 등 내부 지원인력을 줄여 국민들과 직접 만나는 사업소 등 현장에 재배치하고,기술직 등 서비스를 창출하는 분야의 직원 채용과 간부 비중을 더욱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또 공공성에 비추어 필요없거나 정리해야 할 자회사들도 대거 정비키로 했다.
아울러 공공기관 임원이 재임 중에 쌓은 업적이나 처벌받은 내용 등을 중앙인사위원회 데이터베이스(DB)에 차곡차곡 축적,차후 인사때 반드시 활용토록 했다.
물론 공기업이 직면한 도전도 만만치 않다.
최근 들어 정부가 일자리 확보 차원에서 공기업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조직 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칫 혁신 의지를 퇴색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최고경영자에 대한 낙하산 시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선 공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혁신 노력도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