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메구미 문제 제기하려면 먼저 과거사 풀어야"

한명숙(韓明淑) 총리는 14일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강행이 미래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가로막고 있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광복절에 앞서 위안부 할머니들이 살고 있는 경기도 광주군 퇴촌면 `나눔의 집'을 방문한 자리에서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가로막는) 그런 일들이 많아 안타깝다"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총리실 관계자가 전했다.

한 총리는 "야스쿠니 참배가 이뤄질 경우 우리 정부도 강력히 항의할 것"이라며 "(위안부) 할머니들의 진정한 해방이 빨리 이뤄지길 바란다.

일본이 진정한 의미의 사과와 진상규명으로 보상할 때까지 일본에 촉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이어 나눔의 집 내 역사관을 둘러보며 일본의 강제동원 장면을 살펴본 뒤 "군 위안부, 강제징용, 이런 것들은 본인의 의사에 반하는 반인륜적, 반인도적 강제동원"이라며 "북한이 됐든, 일본이 됐든, 강제납치, 동원과 같은 반인권적 범죄행위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로 사라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한 총리는 "일본이 메구미 문제를 떳떳하게 제기하기 위해선 우리 나라에 살고 있는 수많은 메구미와 같은 분들의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할 것"이라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소극적 자세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한 총리는 위안부 할머니들이 일본의 도발에 대한 단호한 대응을 주문하자 "영토 등 주권 침해나 잘못된 역사인식 등에 대해 우리 정부도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며 "여성 총리이기 때문에 여성의 한을 더욱더 살피고 신경 쓰겠다"고 답했다.

한 총리는 또 "광복절이 될 때마다 제일 먼저 생각나는 분들이 (위안부) 할머니들이다.

나라 잃은 한이 많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처참한, 한 맺힌 할머니들이 항상 생각난다"며 "이 곳에 여러번 왔는데 그 때마다 반갑게 맞아주시던 할머니들이 한분두분 사라지셔서(돌아가셔서)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한 총리는 나눔의 집에 에어컨 한 대와 복숭아를 전달했으며, 나눔의 집을 나서면서 지난 2004년과 올해 2월에 각각 사망한 김순덕, 박두리 할머니의 추모비 앞에서 묵념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