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투자기업 경영실태 설문조사] 전체기업 현황‥4곳중 1곳 적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53개 전체 조사대상 업체의 사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중국에 진출한 한국 업체들은 임금인상,과당경쟁,노무관리 부담 가중 등으로 고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업체의 기술 추격을 크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악조건 속에서도 투자 업체들은 투자 규모를 늘리는 등 중국 사업을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진출 기업 4개 중 하나꼴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익을 묻는 질문에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는 43.5%,적자는 26.7%에 이르렀다.
적자 요인으로는 유통채널(17.1%),파트너 협력부족(16.2%),기술력 낙후(15.0%) 등이 지적됐다.
기술력과 중국 측 파트너,유통채널 등에 중국 비즈니스의 성패가 달려 있다는 분석이다.
향후 1~2년 후 경영환경 전망 조사에서 '좋아질 것'이란 대답은 34.1%에 그친 데 비해 나머지 65.9%는 '지금과 비슷하거나 나빠질 것'이라는 반응이었다.
이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중국 투자 축소 또는 철수를 고려하고 있다'는 업체는 전체 응답자의 3.6%에 그쳐 중국 사업에 대한 애착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비즈니스를 위협하는 요소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31.8%가 노무관리 및 임금 인상을 지목,이 분야가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됐다.
특히 전체 응답자의 28.8%가 노사관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7.1%는 노사분규를 경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 간 임금인상 속도 차이를 묻는 질문에 73.1%가 '중국의 임금상승률이 한국보다 더 높다'고 답해 '중국은 저임 노동력의 천국'이라는 상식이 깨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경쟁관계에 있는 중국 업체와의 기술력 비교에서 '한국과 대등하거나 이미 추월당했다'는 응답이 무려 29.2%에 달했고,'중국 업체가 2~3년 이내 추격할 것'이라는 답도 36.8%에 이르렀다.
중국 기업의 기술 추격이 우려할 만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특히 전체 24.4%가 중국 이전 기술이 역으로 한국에 타격을 입힐 수 있다고 답해 기술 부메랑이 현실화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그럼에도 불구,투자기업의 60% 이상이 중국에 연구개발 조직을 두지 않는 등 현지 기술 개발에 소극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기업들은 리베이트 요구,상표도용,기술이전 강요 등 중국의 부당한 상(商)관행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당한 리베이트를 강요받고 있느냐는 질문에 36.9%가 '그렇다'고 답한 반면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11.4%에 그쳤다.
또 조사기업의 35.9%가 '중국 기업의 상표 도용을 경험했거나 우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중국 업체의 기술 추격을 크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악조건 속에서도 투자 업체들은 투자 규모를 늘리는 등 중국 사업을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진출 기업 4개 중 하나꼴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익을 묻는 질문에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는 43.5%,적자는 26.7%에 이르렀다.
적자 요인으로는 유통채널(17.1%),파트너 협력부족(16.2%),기술력 낙후(15.0%) 등이 지적됐다.
기술력과 중국 측 파트너,유통채널 등에 중국 비즈니스의 성패가 달려 있다는 분석이다.
향후 1~2년 후 경영환경 전망 조사에서 '좋아질 것'이란 대답은 34.1%에 그친 데 비해 나머지 65.9%는 '지금과 비슷하거나 나빠질 것'이라는 반응이었다.
이 같은 어려움 속에서도 '중국 투자 축소 또는 철수를 고려하고 있다'는 업체는 전체 응답자의 3.6%에 그쳐 중국 사업에 대한 애착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비즈니스를 위협하는 요소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31.8%가 노무관리 및 임금 인상을 지목,이 분야가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됐다.
특히 전체 응답자의 28.8%가 노사관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7.1%는 노사분규를 경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 간 임금인상 속도 차이를 묻는 질문에 73.1%가 '중국의 임금상승률이 한국보다 더 높다'고 답해 '중국은 저임 노동력의 천국'이라는 상식이 깨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경쟁관계에 있는 중국 업체와의 기술력 비교에서 '한국과 대등하거나 이미 추월당했다'는 응답이 무려 29.2%에 달했고,'중국 업체가 2~3년 이내 추격할 것'이라는 답도 36.8%에 이르렀다.
중국 기업의 기술 추격이 우려할 만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특히 전체 24.4%가 중국 이전 기술이 역으로 한국에 타격을 입힐 수 있다고 답해 기술 부메랑이 현실화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그럼에도 불구,투자기업의 60% 이상이 중국에 연구개발 조직을 두지 않는 등 현지 기술 개발에 소극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기업들은 리베이트 요구,상표도용,기술이전 강요 등 중국의 부당한 상(商)관행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당한 리베이트를 강요받고 있느냐는 질문에 36.9%가 '그렇다'고 답한 반면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11.4%에 그쳤다.
또 조사기업의 35.9%가 '중국 기업의 상표 도용을 경험했거나 우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