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에 힘입어 이슬람 금융이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한국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커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슬람 금융은 이자받는 것을 금기시하는 등 일반적인 금융활동에 비해 많은 제약이 따르지만 국제유가의 고공행진으로 오일머니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각국은 이를 붙잡기 위해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이슬람 금융이 금융회사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어 국제적인 흐름에 맞춰 이슬람 금융의 활용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미국 라이스대의 마후무드 아민 엘 가말 교수는 지난 4일자 미 재무부 특별 보고서에서 "이슬람 금융 산업이 이자와 보험 등 서방식 개념을 인정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슬람권은 물론 미국을 비롯한 서방에서도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엘 가말 교수는 미국 금융당국이 이슬람 금융상품을 승인한 것을 강조하며 "미국과 유럽에서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은 역내 이슬람 사회를 대상으로 이슬람 금융이 본격 확산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슬람 금융의 급성장 동력은 중동 산유국들이 석유수출로 벌어들인 오일머니.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들의 석유 수출액은 2002년 2072억달러에서 올해 5219억달러로 151.9% 급증할 전망이다.

파이낸셜타임스 등은 고유가로 오일머니 규모가 8000억∼1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고 전했다.

특히 이슬람 금융은 오일머니의 투자 창구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무슬림들이 이자수입을 불로소득으로 간주하는 코란의 가르침과 주류 담배 돼지고기 도박 등에 관련된 거래를 금지하는 샤리아를 엄격하게 준수하면서 투자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게 이슬람 금융이기 때문이다.

이슬람 금융은 예금자나 이슬람채권(수쿠크) 투자자들에게 이자가 아니라 이들이 맡긴 돈을 샤리아가 금지하지 않는 사업에 투자해 여기서 거둔 수익을 배당한다.

이 같은 조건을 충족시켜 무슬림들의 오일머니를 확보하기 위해 선진국과 아시아 국가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에선 이슬람 금융의 거래형태 중 가장 활발한 무라바하 방식의 주택자금 융자를 실시하는 금융회사가 증가하고 있다.

리스와 비슷한 방식인 이자라도 인기다.

이슬람 국가인 말레이시아는 2010년까지 이슬람 금융이 전 세계 금융시장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아시아의 이슬람금융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장경영 기자 longrun@hankyung.com


< 용어 풀이 >

○무라바하

이슬람 은행이 주택이나 물건을 사려는 사람과 계약을 맺고 이 사람을 대신해 대금을 매도자에게 지급한 뒤 매수자로부터 대금과 일정 비용을 상환받는 방식이다.

이슬람 금융 거래의 약 75%를 차지하는 방식으로 서방국가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매자금융과 유사하다.

○이자라

무라바하 다음으로 이용도가 높은 방식으로 리스와 비슷하다.

금융기관이 설비나 건물 등을 구입해 투자자에게 임대료를 받고 대여해준다.

만기시 투자자는 자산을 은행에 반환하거나 재거래를 통해 취득할 수도 있다.

○수쿠크

이슬람 채권을 가리킨다.

투자자들에게 이자를 주는 대신 투자금으로 벌인 사업에서 나오는 수익을 배당금 형식으로 지급한다.

코란이 이자를 받는 것을 금지하지만 부동산 투자나 자산 리스 등 실체가 있는 거래에서 창출되는 이익을 얻는 것을 막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해 무슬림들에게 채권 투자의 길을 열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