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윤리를 대학에서 교과과정을 통해 가르쳐야 한다."

"대학 연구자들이 개인별로 연구 성과를 발표하지 말고 대학에서 객관적인 검증을 거쳐 대변인을 통해 발표토록 해야 한다."

한국공학한림원과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으로 최근 서울 역삼동 한국기술센터에서 마련한 '과학기술 윤리 어떻게 지킬 것인가' 주제의 토론마당에서 참석자들은 이같이 입을 모았다.

이들은 황우석 박사 논문 조작 사태를 통해 우리 사회가 고도의 전문성을 앞세운 과학자의 의도적인 부정에 철저하게 무력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며 제2의 황 박사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과학기술계,언론이 힘을 모아 과학 윤리를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나라는 그동안 연구비 유용을 막는 데만 관심을 기울였을 뿐 논문 데이터 조작 등 다른 연구 부정 행위에 대해서는 소홀히 다뤄왔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국가 연구개발 사업의 선택과 집중으로 과학자들 간의 경쟁이 심화하면서 부정 행위에 대한 유혹도 커지고 있다"며 "대학이 연구에만 주력하지 말고 교육 기능을 강화해 미래 과학자들의 윤리의식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오세정 서울대 자연과학대 학장은 "연구원들이 연구실 내의 부정을 발견하고도 상하관계에 얽매여 이를 모른 척하는 경우가 많다"며 "연구실 내의 권위주의 문화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성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부연구위원은 "공대,자연과학대 등 이공계 대학별로 특성에 맞는 과학 윤리를 교과과정에 넣어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대학에 연구 윤리 전반을 감독할 수 있는 조사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상철 서울대 의대 교수는 "대학 연구자들이 개별적으로 연구 성과를 발표하면 내용을 과장할 가능성이 크다"며 "각 이공계 대학이 대변인을 통해 연구내용을 객관적으로 발표토록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경찬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공동대표(연세대 교수)는 "해당 연구기관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이나 학회가 연구의 진실성을 크로스 체크하는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