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상당수의 의약품 시험기관에서 시험 데이터를 조작했고 또 제약사들이 이를 근거로 약품을 만들어 판매해 온 사실이 확인돼 파문이 예상됩니다.

조성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식품의약품안전청이 지난달 21일부터 한달여간 의약품생물학적동등성 시험기관에 대한 조사를 벌여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4개 기관에서 10여개 품목의 시험 데이터가 조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적발된 시험기관은 랩프런티어,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부설 생동성시험 연구센터, 성균관대 약대, 바이오코아 등 4곳입니다.

동아제약과 코오롱제약, 영일약품, 메디카코리아, 환인제약, 영풍제약, 하원제약, 신일제약, 대우약품, 삼천당제약 등 10개 제약사가 조작된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약품을 만들어 판매했습니다.

9개 기관에서 시험한 또다른 33개 품목도 조작 의혹이 있지만 해당 기관에서 조작사실을 부인하고 있어 식약청이 정밀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생물학적동등성 시험은 제약업체들이 이른바 복제약 판매 허가를 받기 전에 실제 사람에게 투여해 오리지널 약과 동등한 약효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증명하는 시험입니다.

자료조작 기관들은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임의로 고쳤고 일부 기관은 조작사실을 숨기기 위해 컴퓨터 내장자료까지 삭제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식약청은 이번 조사자료를 토대로 데이터를 조작한 시험기관은 사법당국에 수사를 의뢰할 예정입니다.

또한 조작된 시험자료를 토대로 허가된 의약품에 대해서는 허가 취소와 판매 금지, 시중 유통품일 경우 회수 폐기 조치토록 했습니다.

식약청은 문제가 된 약들이 유효성은 떨어져도 약효 성분과 함량은 같기 때문에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조작이 밝혀지거나 의심되는 약품이 조사대상 약품 101개 가운데 40%가 넘는 43개에 이른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식약청은 이번에 적발된 시험기관의 나머지 250여개 약품에 대해서도 조사를 계속하는 한편 모든 시험기관으로 조사대상을 확대할 계획이어서 파문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전망입니다.

와우TV 뉴스 조성진입니다.

조성진기자 sccho@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