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5일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의 조기 귀국을 공개촉구하고 나섰다. 수사의 본래 목적인 김재록씨 로비의혹을 밝히기 위한'압박용'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국가경제를 위해 '전선'을 더이상 확대하지 않은 채 빨리 마무리짓겠다는 속내가 담겨 있다는 평가도 제기되고 있다. 검찰은 그룹을 둘러싼 의혹이 계속 불거져 나오는 상황에서 어떤 식으로든 최고경영진의 '책임 있는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을 누차 강조하고 있다. 검찰이 큐캐피탈홀딩스 등 5개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CRC)에 대해 압수수색을 단행한 뒤 온갖 의혹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현대차가 옛 기아 계열사 등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구조조정회사를 동원,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일부 보도가 대표적이다. 또 검찰이 현대차 비자금의 일부가 유력 인사들에게 흘러들어갔음을 보여주는 비밀자료를 확보했다거나 정의선 기아차 사장이 하청업체의 화의채권 거래를 통해 100억원대에 달하는 이득을 취했다는 등 다양한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부실기업 매각업무를 담당했던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역할도 주목을 받고 있다. 대검 관계자는 "공적자금이 투입돼 캠코로 넘어갔던 위아(옛 기아중공업),본텍(옛 기아전자),카스코(옛 기아정기) 등 옛 기아자동차그룹의 핵심 계열사들이 큐캐피탈홀딩스 등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를 통해 다시 현대차로 재편입되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CRC 회사가 이들 3개 회사의 채권을 샀지만 실제로는 현대차 자금이 투입됐으며 캠코도 이를 알고는 있었지만 부실채권 매각률을 높이기 위해 묵인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부실계열사를 판 회사는 캠코가 매각하는 채권입찰에 참여할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3개사를 현대차에 헐값 매각했으며,결과적으로 현대차 경영진에 부당한 이득을 안겨주었다는 지적이다. 이 과정에서 김재록씨(인베스투스글로벌 자문·구속)가 모종의 역할을 했을 수 있다는 게 검찰측 판단이다. 캠코는 당시 부실채권 매각의 전 과정을 김씨가 대표로 있던 아더앤더슨에 일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병일 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