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15일 이해찬(李海瓚) 총리가 후임 환경부장관과 공정거래위원장의 제청 절차를 밟고 사표를 제출하는대로 이를 수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은 이에 따라 후임 총리 인선 구상에 착수했고, 후임 인선 때까지 당분간 정부조직법에 따라 행정부는 한덕수(韓悳洙) 경제부총리가 총리직을 맡는 직무 대행체제로 운영할 방침이다. 열린우리당 일각에서는 총리 국회 인준 청문회가 정쟁화될 수 있다는 이유로 후임 인선 시기를 지방선거 이후로 미루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으나, 청와대는 서두를 필요는 없지만 굳이 지방선거 이후까지 미룰 이유는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대통령의 선택이 주목된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후임 총리 인선은 임기 후반 국정운영을 어떻게 꾸려갈 것인지 구상이 가닥잡혀야 하고 또 그에 걸맞은 총리감이 누구인지를 찾아야하기 때문에 서두르지는 않을 것 같다"며 "그렇다고 계속 후임 총리를 공석으로 둘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전날 열린우리당 정동영(鄭東泳) 의장과 이 총리의 거취문제를 협의하는 자리에서 정 의장으로부터 후임 총리 후보와 인선시기에 대한 당의 입장을 전해들었지만, 이에 대해 견해를 피력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어제 정 의장 예방 자리에서 후임 총리 얘기가 있었지만 유의미한 논의는 아니었다"며 "총리 인선은 국정구상의 핵심인 만큼 임명권자인 대통령께서 지금부터 고민과 숙고의 시간을 가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방선거 이후에 후임 총리를 발표해야 한다는 의견이 당쪽에서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어떤 사람이 총리가 되느냐에 따라 청문회 양상이 달라질 수도 있는 만큼 시기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사람을 총리감으로 생각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여권내에서는 정부측 인사로 김병준(金秉準) 청와대 정책실장, 문재인(文在寅) 청와대 민정수석, 전윤철(田允喆) 감사원장 등이, 정치권에서는 문희상(文喜相) 김혁규(金爀珪) 의원 등이 거론되는 가운데 여성 총리후보로 장명수(張明秀) 전 한국일보 사장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이 총리는 이날 오전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주재할 예정이던 국정현안 정책조정회의를 취소했으며, 이날 오후 이임식을 가질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성기홍 기자 sg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