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읽기] 'S'자형 투자이론과 대수의 법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요즘 들어 주가가 조정을 보이고 주식을 대체할 만한 뚜렷한 투자수단이 부각되지 않음에 따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다 확실한 수익을 내는 방안으로 'S'자형 투자이론이 부각되고 있다.
'S'자형 이론은 사람의 성장곡선에서 유래됐다.
모든 신기술과 제품은 시장점유율을 일일이 측정하지 않아도 서서히 틈새시장을 파고들기 사작하고 일단 소비자와 가정 속에 10% 정도가 보급되고 나면 그 이후 급속히 퍼져나가는 큰 흐름을 이룬다.
즉 한 제품이 시장을 10% 점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이후 90% 점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같다는 것이 이 이론의 핵심이다.
자동차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자동차는 1886년에 처음 발명된 후 1900년께부터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이 때부터 당시 자동차를 소유할 수 있었던 고소득 틈새시장을 파고들기 시작해 1914년에는 10%를 차지했다.
그 후 자동차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해 꼭 14년 만인 1928년께는 90%에 도달했다.
지난해 이후 유행했던 해리 S 덴트의 버블론에서 자산시장의 호황이 2010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는 것도 인구통계학적 관점에서 1990년대 후반부터 경제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가 지속될 것이라는 점과 현재 주력산업인 정보기술(IT)의 보급률이 이 때까지 90%에 달할 정도로 급신장될 것이라는 'S'자형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S'자형 이론이 나오게 된 가장 큰 배경은 어떤 신기술과 제품의 보급률이 10%에 달하면 그 이후에는 요즘 월가의 최대 뉴스메이커인 구글의 조지 레이에스가 언급해 유명해진 '대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대수의 법칙이란 매출이 100억원이던 기업이 다음 해 150억원이 될 경우 증가율은 50%다.
그 다음 해에 50% 성장하려면 75억원이 증가해야 하고,그 다음 해에는 112억5000만원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야 한다는 이론이다.
결국 'S'자형 이론은 어떤 기술과 제품이든 초기에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불확실한 상황에서 보급률이 10%에 달하면 확신을 갖고 중장기적인 안목에서 투자해 놓을 경우 높은 수익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제로 이 이론은 일부 국내증권사에서 프리 코스닥 기업과 업종을 발굴할 때 적용해 높은 수익을 내고 있다.
현 시점에서 'S'자형 이론을 국내시장에 적용해 보면 일반 국민들에게는 부동산과 주식보다는 채권에 대한 인식이 낮다.
또 주식시장에서는 구글처럼 보급률이 10%에 도달한 이후 급성장하는 신기술과 상품이 언제든지 나올 수 있다.
증시재료면에서도 인수합병(M&A)은 아직까지 시작에 불과하다.
지난 2년 동안 인기를 끌었던 적립식 펀드와 같은 간접상품은 이달 들어 보급률이 전체 가구수 대비 약 50%에 도달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한 차례 조정을 거친 후에 궁극적으로는 보급률 90%를 향해 제2의 신장기를 거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주목해야 할 것은 글로벌 투자수단이다.
일반 국민들 입장에서 글로벌 투자수단에 대한 인식은 일부 계층에 국한될 정도로 낮다.
또 제도적으로 3월1일 외환거래 규제 완화조치에 따라 부동산 주식 채권 등에 걸쳐 해외투자가 사실상 자유화됐다.
'S'자형 이론에 근거한다면 해외부동산 투자와 해외펀드 가입을 중심으로 투자수단면에서도 글로벌화가 급진전될 것으로 예상되며,이런 고객의 수요에 맞춰가다 보면 국내 금융산업의 글로벌 과제도 달성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