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지수가 '차이나쇼크' 우려로 불과 보름만에 200포인트 이상 폭락했던 2004년 4월 말∼5월 초.


바짝 몸을 낮추고 있던 외국인들은 기다리기나 한듯이 대대적인 한국 주식 사냥에 나섰다.


한국 대표기업들의 주가를 글로벌 경쟁기업들과 비교해보니 너무나 싸다는 판단이 들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외국인들의 한국 주식 매집을 주선했던 외국계 영업담당 임원은 "펀더멘털(내재가치)이 훼손된 것이 아니라 단지 대외 변수에 대한 우려 때문에 단기 폭락했으니 외국인들로선 절호의 매수 찬스였던 셈"이라며 "당시 외국인들은 우량주식으로 추천하면 무조건 사들이고 보는 분위기였을 정도"라고 말했다.


외국인들이 2004년 5월 중순부터 4개월간 순매수한 국내 주식은 무려 4조7900억원어치에 달했다.


그 사이 코스피지수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했고,결과적으로 외국인들의 '바게인 헌팅'은 대성공을 한 셈이 됐다.


당시 삼성전자 주식이 40만원 선까지 떨어졌을 때 "이 가격대에서 살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판단했던 외국인은 1년8개월여 만에 85%의 수익률을 기록했고,현대차 주식을 4만원대에 거둬갔던 외국인은 같은 기간 100% 이상의 높은 수익률을 냈다.


◆2006년 1월 한국증시도 바겐세일 중


전문가들은 2006년 1월 증시에서도 2년 전의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실제 천정부지로 치솟던 코스피지수가 지난 1월17일 이후 불과 5일 만에 100포인트 이상 급락하자 외국인은 돌연 태도를 바꿔 순매수에 나서기 시작했다.


지난달 17일부터 1월 마지막날까지 외국인이 순매수한 한국 주식은 모두 2조원어치에 달한다.


작년 1년 내내 차익실현으로 일관하던 외국인이 이번 급락을 또한번의 '바게인 헌팅' 기회로 판단한 것이다.


외국인이 순매수한 사이 코스피지수는 다시 반등,전 고점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지금 지수대에서 보더라도 한국 기업들의 주가는 여전히 저평가돼 있다고 보고 있다.


대우증권 분석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현재 한국 상장기업들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R)은 10.1배로 미국(15.3배) 일본(19.1배) 홍콩(15.9배) 싱가포르(14.3배) 등 선진국 증시에 비해 여전히 낮다.


이머징마켓(신흥시장) 평균 PER 11.4배에 비해서도 저평가된 수준이다.


이원선 대우증권 연구원은 "한국 기업들의 ROE(자기자본이익률)는 이미 미국 기업들의 ROE와 거의 비슷할 정도로 선진국 수준에 와있다"며 "한국 기업들의 이익 창출력이 선진국 기업들 못지 않은 데도 PER가 낮다는 것은 주가가 여전히 저평가돼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업종별로 보면 IT(정보기술)와 금융 등은 이미 ROE가 미국의 경쟁 업종 기업 수준을 넘어선 상태"라며 "주가가 제대로 평가된다면 이론적으로 한국 IT기업들의 PER는 미국 기업들보다 더 높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핵 리스크와 기업지배구조 등 한국 증시의 디스카운트 요인을 감안하더라도 한국 증시의 평균 PER는 최소 11배 정도가 돼야 한다"며 "이를 기준으로 봤을 때 코스피지수는 1550까지 상승해도 전혀 부담이 없다"고 덧붙였다.


◆대표주식들,아직도 싸다


삼성전자 신세계 현대백화점 등 시장 대표주들은 최근 급락장에서 외국인 매수세로 강한 반등세를 타며 이미 전고점을 넘어 사상 최고가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상당수 우량주식들은 과거 최고점 수준에서 비교적 큰 폭 조정을 받은 채 바겐세일 중이다.


현재 주가가 증권사들이 제시하는 목표주가 대비 50%에도 못미치는 종목도 상당수에 달한다.


심지어 낙폭이 상대적으로 컸던 코스닥의 경우 괴리율이 200%에 이르는 종목도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개별 기업 주가가 역사적으로 보면 최고 수준에 와있지만 아직도 충분히 싸다고 평가하고 있다.


사상 최고가에 도달해 있는 삼성전자의 경우 최근 1년 사이 PER가 8배에서 14.6배로 높아졌지만 아직 미국 인텔(15.9배) AMD(26.3배) 마이크론(29.6배) 등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LG전자도 주가 상승으로 현재 PER가 18.8배에 달하지만 일본 샤프(27.0배) 마쓰시타(28.3배),대만 AUO(21.0배) 등에 비해 저평가돼 있다.


철강업종 대표주인 포스코의 경우 PER가 4.6배로 해외 경쟁사인 일본 닛폰스틸(9.2배),중국 바오산철강(5.6배),미국 누코아(14.9배) 등에 비해 낮다.


현대차의 PER도 8.4배로 일본 도요타(17.2배) 혼다(12.0배),미국 포드(12.7배),독일 다임러크라이슬러(19.3배) 등에 비해 저평가된 수준이다.


농심(14.6배)도 미국 코카콜라(19.3배) 켈로그(18.4배) 등에 비해 크게 저평가돼 있다.


SK텔레콤(8.6배) KT(10.5배)는 일본 NTT도코모(15.6배),미국 AT&T(14.2배)에 비해 낮다.


한국전력 SK(주) KT&G LG화학 유한양행 등 다른 업종 대표주들도 마찬가지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