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차 장관급회담에서 남측은 북핵 이외의 문제가 6자회담 진전에 장애가 되어서는 안된다며 거듭 설득했지만 북측은 금융제재 문제로 조성된 난관의 책임이 미국에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우리측 회담대변인인 김천식 통일부 교류협력국장은 회담 사흘째인 15일 서귀포 롯데호텔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전날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권호웅 내각 책임참사 사이의 수석대표 접촉과 대표 접촉의 결과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다. 우리측은 이들 접촉에서 9.19공동성명을 이행하기 위한 5차 2단계 6자회담이 조속히 재개돼 이행합의서를 채택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현재의 난관을 타개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제안한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에 대한 북측의 반응에 대해 김 국장은 "6자회담과 관련해 난관이 조성된 문제에 대해 미국에 원인이 있다고 보는 것 같다"며 "북측은 논쟁 없이 우리측 입장을 경청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날 남북 간에 절충을 시도할 공동보도문에 북핵 관련 입장이 어떤 형태로 반영될 지 주목된다. 북측은 또 이들 접촉에서 전날 기조연설의 연장선에서 "6.15시대에 맞게 정치적 장벽, 군사적 장벽, 경제적 장벽을 없애자"며 3대 장벽을 없앨 것을 주장했다. 김 국장은 3대 장벽과 관련, "북측은 정치적 장벽으로 상대방에 대한 비난이나 참관지 제한 문제 등을 얘기했고 군사적 장벽으로는 합동군사연습을 말한다"며 "경제적 장벽은 바세나르협정과 EAR(수출통제규정)을 말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우리측은 남측 주민에 대한 북측 지역 방문지 제한을 풀라는 북측 요구와 관련, 국내법 등 제도적인 측면, 국민 정서, 남북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만큼 이번 회담에서 북측에 답을 주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우리측은 수석대표 접촉 등에서 군사당국자회담 개최, 국군포로.납북자 생사확인, 열차 시험운행 및 도로 개통 등 남북 간에 합의사항이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점에 대해 강하게 유감을 표시하고 조속한 이행을 촉구했다. 이에 따라 이번 회담에서 제3차 장성급군사회담과 제2차 국방장관회담 등 군사당국자회담 개최에 대한 북측의 확답을 받아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우리측은 특히 납북자 및 국군포로 문제와 관련, 국민적 관심이 높은 사안임을 강조하고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생사 및 주소 확인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우리측은 아울러 6자회담이 진전되면서 평화체제에 대한 논의를 2006년부터 시작하고 대북 200만kW 송전계획도 구체적인 협의가 시작되기를 기대한다는 입장도 북측에 전달했다. 북측 대표단은 이날 CJ나인브릿지에서 우리측 대표단과 점심식사를 함께 하고 정 장관이 주최하는 환송만찬에 참석한다. 참관일정은 기상 악화로 취소됐다. (서귀포=연합뉴스) 정준영 조준형 이상헌 기자 prince@yna.co.kr jhcho@yna.co.kr honeyb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