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교수팀이 미국 피츠버그대에 파견한 연구원들이 MBC 'PD수첩' 팀의 취재 과정에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면서 탐사보도 취재윤리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4일 YTN이 "'PD수첩'에 '중대한 증언'을 한 적이 없다', "제작진이 논문 취소 및 황 교수 구속 가능성을 언급하고 인터뷰를 '몰래카메라'로 녹취했다" 등 연구원들의 주장을 보도하자 그동안 간접적으로 알려진 취재 과정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란이 표면화된 것이다. 이에 대해 장호순 순천향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연구원들의 주장이 사실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제하면서 "만약 과학자의 윤리를 점검하려던 'PD수첩'이 스스로도 언론의 윤리를 지키지 않고 심각하게 연구활동을 왜곡했다면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이번 사안이 취재 과정이나 방법보다 결과를 중시하던 관행을 벗어나 정도(正道)에 따른 과정을 거쳐 결과를 제시하는 시스템 마련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원들의 주장이 또다른 '진실 공방'의 시작이 돼선 안된다는 입장도 있었다. 강만석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은 "주장에 대한 반박ㆍ해명 과정이 또다시 지루한 '진실 공방'으로 이어져서도, '한쪽이 이겨야 한다'는 식의 싸움의 실마리가 돼서도 안된다"고 말했다. 강 연구원은 "부분적 팩트를 가지고 무리하게 탐사보도를 진행하게 되면 탐사보도의 사회적 의미를 인정한다고 해도 성급한 면이 있다"며 "오랜 기간 신중하게 준비된 탐사보도가 이뤄져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폭로성 보도에 그칠 수도 있다는 교훈을 주는 사례"라고 덧붙였다. 연구원들의 주장이 사실인지 여부가 가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주동황 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교수는 "연구원들의 주장이 사실인지를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 취재 윤리에 대해 뭐라고 언급하기 힘들고 진위 여부를 먼저 가려야 할 것"이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서울=연합뉴스) 백나리 기자 nar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