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이 주가가 사상 처음 1300선을 넘은 해라면 2006년은 증권산업 빅뱅의 원년으로 기록될 것이다.


내년은 은행 중심의 한국 금융산업 지도가 개인금융 중심의 상업은행(Commercial Bank)과,기업금융 중심의 투자은행(Investment Bank)으로 양분되기 시작하는 첫 해가 된다.


'증권 빅뱅'의 기틀은 정부가 발표한 '자본시장통합법'에서 마련됐다.


내년부터 시행될 이 법은 증권 자산운용 선물 신탁 등의 업무영역을 터주는 것을 골자로 하는 등 자본시장에 핵폭탄급 위력을 갖고 있다.


미국은 이미 지난 1933년 글래스-스티걸법을 제정,골드만삭스 등이 세계적 투자은행으로 클 수 있도록 만들었다.


영국의 세계 금융허브 도약도 20년 전인 1986년 금융투자서비스 관련법을 통합한 데서 출발한다.


하지만 투자은행 변신의 선봉역을 맡을 우리 증권사의 경쟁력은 세계적 투자은행은 물론 국내 은행들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열악하다.


이는 한국경제신문이 국내 25개 증권사와 22개 자산운용사,5개 선물회사 등 52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6.9%가 국내 증권사 경쟁력을 60점 이하(세계적 투자은행 100점 기준)라고 응답한 데서도 잘 드러난다.


국내 증권업의 이 같은 낮은 경쟁력은 증시가 기업들의 자금 조달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자본시장 기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에 등록된 증권사는 41개로 은행(농·수협 포함 19개)의 두 배를 넘지만 지난 상반기 영업이익은 1조989억원으로 은행권(3조2115억원)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골드만삭스 한곳이 1~3분기 동안 벌어들인 39억9000만달러(약 4조1432억원)와 견줘서는 그야말로 '새 발의 피'다.


국내 대기업이 해외에서 증권을 발행할 때나,진로 등 부실 기업을 매각할 때도 주간사는 모두 외국계 투자은행 몫이다.


골드만삭스는 진로와 대한통운 인수·합병(M&A)건만으로 1조6000억원(평가차익 포함)을 벌어들였다.


증권 빅뱅은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선물회사 간 M&A 등의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설문조사 결과 59.6%가 자본시장통합법 제정 후인 2007~2008년에 본격적으로 합종연횡이 이뤄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증권사 중 '빅5'는 대형 투자은행으로 변신하고 중소형사는 위탁매매나 자산운용 등 전문화의 길을 걸을 것으로 전망했다.


증권 빅뱅은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요구한다.


은행의 경우 외환위기 당시 33개였던 것이 지금은 절반으로 줄었다.


그 결과 이제 웬만한 시중은행의 경우 조 단위의 순이익을 내는 곳으로 환골탈태했다.


증권사들도 구조조정을 끝마치는 2010년쯤이면 경쟁력있는 투자은행으로 변신할 것이다.


황건호 증권업협회 회장은 "자본시장통합법 제정으로 이제 동북아 금융허브를 향한 첫 단추가 채워지는 셈"이라며 "증권사들의 자발적 구조조정을 유도할 수 있는 인센티브도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자본시장이 튼튼해야 실물경제도 건전해진다.


한경이 '자본시장 새 틀을 짜자' 시리즈를 시작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강현철 기자 hc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