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수가 사상 최저를 기록하고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출산기피 현상이 심화되고 있지만 40대 이상 산모가 낳은 아이수는 22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고령자 출산은 오히려 늘고 있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0대 이상 산모가 낳은 출생아수는 5천787명으로 지난 1982년의 7천385명 이후 가장 많았다. 40대 이상 산모가 낳는 아이는 지난 1980년만 해도 2만2천명선이었으나 전반적 인 출산기피 현상과 함께 1983년에는 5천461명으로 감소하는 등 꾸준히 줄어 1989년 에는 2천122명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서는 전체 출생아수가 감소추세를 보인 것과 달리 증가세 로 반전, 계속 늘어나면서 작년에는 5천756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40대 이상 산모를 연령대별로 보면 40대 초반(40∼44세)이 5천388명으로 가장 많았다. 자녀가 초.중학교를 다닐 무렵 자신은 실버세대인 60대로 접어드는 40대 후반(45∼49세) 산모는 373명이었으며 50세 이상의 초고령 산모도 26명이 있었다. 고령자 산모의 증가는 결혼연령이 매년 조금씩 올라가면서 출산 시기가 함께 늦춰지는데다 일부 계층의 늦둥이 낳기 유행 등 현상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40대 초반 산모가 낳은 셋째 아이는 1천450명으로 1980년 1천708명 이후 24년만의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40대 후반 산모가 낳은 셋째 아이 역시 80명으로 1983년 85명 이후 가장 많았다. 전문가들은 급속한 출산율 저하가 부양인구 부족에 따른 국민연금 고갈 우려 등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처럼 고령자 출산의 증가도 장래에 사회 문화적으로 적지않은 현상을 낳을 것으로 보고있다. 한편 20대 산모가 낳은 출생아수는 23만8천573명으로 지난해 태어난 전체 47만6천52명의 절반 수준(50.1%)에 턱걸이했다. 10년전인 1994년의 경우 20대 산모가 낳은 아이는 53만4천999명으로 전체 출생아(72만4천35명)의 73.9%를 차지했다. 지난해 30대 산모가 낳은 아이는 22만7천344명으로 10년전 17만6천812명보다 28.6%가 늘어 전반적인 출산 고령화 현상을 반영했다. (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evan@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