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근로자의 지난해 월평균 임금이 대기업 정규직의 63.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1990년의 77.8%보다 14.1%포인트나 줄어든 것으로 14년간 임금격차의 증가율로 보면 7.3배에 이른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30일 '기업규모 간 임금격차 확대 현황'이라는 자료에서 1990년월 16만4699원(74만1392원-57만6693원)에 불과하던 중소기업(10~299명)과 대기업(500명 이상)의 명목임금 수준 격차가 2004년 120만7173원(332만6669원-211만9496원)으로 14년 만에 7.3배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격차는 물가인상을 감안하더라도 3.9배 증가한 수치다. 경총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10명이상 기업의 전체 근로자 중에서 500명이상 대기업 근로자수의 비중은 외환위기 전(90~96년) 25.4%에서 외환위기 극복 이후(2000~2004년) 18.3%로 7.1%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전체 임금인상 재원 중 분배 몫인 임금인상 분배율은 22.0%에서 26.5%로 오히려 4.5%포인트 높아졌다. 이에 반해 중소기업(10~299명)의 경우 근로자 비중은 외환위기 전 67.4%에서 외환위기 극복 이후 74.9%로 높아졌는데도 불구하고 임금인상 분배율은 70.3%에서 66.2%로 오히려 4.1%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2004년 500명 이상 대기업의 근로자 비중은 18.1%를 차지했으나 임금인상 분배율은 39.4%로 근로자 비중의 2배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대기업 근로자는 비중이 줄어드는데도 임금을 많이 챙기면서 중소기업은 반대의 현상을 보이는 것은 외환위기 이후 노동운동이 대규모 노조가 있는 대기업의 정규직 근로자 위주로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경총은 풀이했다. 경총은 대기업 정규직 위주의 고율 임금인상에 따라 임금인상률이 생산성 증가율을 초과하는데다 해고마저 어려운 상황에서 기업들이 정규직의 추가 고용을 꺼리고 비정규직 고용비율을 늘리고 있다고 밝혔다. 경총 김영배 부회장은 "대기업 정규직 위주의 고율 임금인상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노동운동의 방향이 고율의 임금인상이 아니라 고용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노동계는 생산성 임금제를 정착시키는 데 동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확대로 실질적으로 60만명의 청년실업이 존재하는데도 '취업난 속 구인난'이라는 인력수급의 불균형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중소기업의 평균 인력부족률은 2.6% 수준으로 15만7000여개의 일자리를 채우지 못하고 있는 반면 대기업의 인력부족률은 0.9%로 부족인원수는 8000여개에 불과했다. 정구학 기자 c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