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부와 입법부, 사법부 등 국가 주요기관에서 생산한 전자기록물을 영구보관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일반인들도 인터넷으로 열람할 수 있는 전자기록물 관리체계가 구축된다. 국가기록원은 15일 정부기관에서 생산하는 전자기록물의 생산 및 영구보존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 한국전산원에 프로그램 개발사업을 발주했다고 밝혔다. 국가기록원은 내년에 이 시스템을 개발해 행정부부터 기록정보 통합검색망을 구축한 후 입법.사법부 등 국가 전반으로 확대, 유비쿼터스형 전자기록 관리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전자기록관리체계가 구축되면 정부업무관리시스템에서 생산된 전자기록물은 일정연한이 되면 온라인으로 국가기록원으로 옮겨져 영구보존되고 이중 공개대상 자료의 경우 일반 국민도 인터넷으로 자유롭게 검색이나 열람을 할 수 있게 된다. 국가기록원 관계자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전자문서시스템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지만 이를 일반 국민이 인터넷을 통해 검색.열람할 수 있는 시스템까지는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이 사업이 성공하면 우리나라는 세계 최첨단의 전자기록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jaeh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