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시장이 금리 급등(채권가격은 급락) 여파로 매수세가 실종되는 패닉상태에 빠져들고 있다. 연초에 이어 올 들어 두 번째다. 이로 인해 채권형펀드 수익률은 급락,금년 들어 벌써 14조원이 이탈했고 이 가운데 3분의 1이 넘는 5조원 이상의 뭉칫돈이 주식형펀드로 유입됐다. 최근 증시에서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오르는 유동성 장세가 나타나는 이유이기도 하다. 채권 딜러들 사이에선 "올해 채권 장사는 완전히 망쳤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2일 채권금리는 0.05%포인트 하락한 연 4.36%(국고채 3년물 기준)에 마감됐다. 전날 0.18%포인트 급등한 데 대한 조정 성격이 강하다. 금리는 지난 6월2일(연 3.61%) 이후 2개월 만에 0.75%포인트 올랐다. 경기 회복 가능성과 국내외금리 역전 우려,콜금리 인상 가능성,추가경정예산 편성에 따른 공급 물량 증가 등 채권시장 악재들이 집중 부각되고 있어 금리 상승세는 멈추지 않을 것(윤항진 한국운용 채권전략팀장)이라는 게 시장 참여자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때문에 채권 매수 주체는 사라진 상태다. 한 투신사 채권 펀드매니저는 "6월 이후 채권을 많이 샀던 은행들은 요즘 금리 급등으로 손실이 커졌고 투신사의 경우도 채권형펀드에서 돈이 빠져 나가고 있어 매수 여력이 없다"며 "연기금과 보험 등은 돈은 있지만 금리가 더 올라가길(채권값은 더 떨어지길) 기다리며 매수를 자제하고 있다"고 전했다. 금리 급등에 따른 채권형펀드 수익률 악화는 채권형펀드의 자금 이탈을 부추기고 있다. 펀드평가사인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연초 대비 채권형펀드 평균수익률은 지난 1일 현재 1.07%(연환산 시 1.85%)로 정기예금 금리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수익률 악화로 채권형펀드 수탁액도 작년 말 75조8859억원에서 지난달 29일 현재 61조6818억원으로 14조2000억원 이상 빠져나갔다. 반면 주식형펀드 수탁액은 같은 기간 5조1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정원석 한일투신 채권운용본부장은 "기관투자가는 은행예금 등 안전 금융상품으로 옮겨가고 있지만 개인자금의 대부분은 채권에서 주식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채권금리 전망은 엇갈리나 상승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한 투신사 사장은 "긴 안목에서 금리 상승 추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채권시장 자금 이탈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박성진 삼성투신 채권팀장은 "3년물 금리 수준은 향후 예상되는 콜금리 인상분을 반영할 만큼 높아져 있다"며 조만간 안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상열 기자 mustaf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