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지난 7월26일 인사추천회의를 열어 3개월 이상째 공석인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후보를 심의했으나 적임자를 찾지 못해 결국 3차 공모에 들어가기로 했다. 이에 앞서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공항경영의 전문가 선임을 위해 4차공모까지 갔다. 대통령이 임명권자인 이런 직책들에 대해 마땅한 사람이 없어 인사수석실은 진땀을 빼기 일쑤다. '차선의 선택'이라며 어렵게 선임한 뒤에도 노심초사다. "또 무슨 하자가 드러날까"싶어 불안하다. 추천과 검증 등 인사업무를 엄밀하게 할수록 경험이 많은 민간의 유능한 적임자는 피하게 된다. 많지 않은 급여에 조건만 까다롭기 때문이다. 반대로 이곳저곳 공기업 사장이나 산하단체장 자리만 나면 이력서를 들이대는 '미자격 인사꾼'들은 오히려 많아지는 추세다. 역량있고 하자없는 외부 전문가를 대거 발탁하겠다는 당초 목표는 멀어져가고 새 공모제 도입 2년 만에 부작용이 부각되는 점도 청와대가 제도개선에 나선 배경이다. 요지는 하염없이 공모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2차례 정도 공모로 적임자가 없으면 바로 정부가 임명한다는 것이다. 다만 이를 빌미로 공모제는 허울이 되고 정권차원의 보은인사나 퇴역 공무원들이 자리를 독차지하는 낙하산 인사가 다시 활성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공모가 자기이력서를 자기가 써내는 자천제 중심이어서 '능력있고 체면있는' 인사들은 적극 응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였다. 그래서 전문기관,유관기관 등에서 적임자를 추천하는 타천 방식이 활성화된다. 보수는 현실적으로 보강할 필요는 있지만 결국 올리는 수준이 문제다. 공기업이 민간과 같을 수는 없다는 지적이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