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20일 `전방부대 총기사건'을 군의 총체적인 안보태세 붕괴사건으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대여안보공세에 나섰다. 한나라당은 이날 개최된 상임운영위 회의에서 전방부대 총기난사 사건 뿐만아니라 철책선을 뚫고 내려온 북한병사가 4일이 지난 후에나 발견된 일, 사병 분신사건, 훈련병 탈영사건 등 잇단 군관련 사건을 언급, "이런 일이 연달아 일어나는 것은 군기강과 안보상황에 허점과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은 특히 이같은 사건으로 인해 병역의무 기피가 심해지지 않을까 우려하며 철저한 진상규명과 함께 책임자처벌, 재발방지대책 강구 등을 요구했다. 당 일각에선 안보태세 점검을 위한 안보청문회를 개최하자는 주장에서부터 국방부장관 해임건의안, 내각총사퇴 결의안을 제출하자는 정치공세도 나왔고 일부 인사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직접 사과를 주장하기도 했다. 맹형규(孟亨奎) 정책위의장은 "어느 부모가 이런 군대에 자식을 보내고 싶겠느냐. 이러다보니 국적포기나 원정출산이 일어나는 것 아니냐"면서 "정부는 자식을 군에 보낸 부모들이 안심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맹 정책위의장은 또 "남북관계와 저출산 등을 고려해 현행 개병제를 개선, 징병제를 골간으로 한 시스템을 중장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며 국방시스템 전반을 검토할 특별기구를 제안했다. 국회 국방위 간사인 박 진(朴 振) 의원은 "이번 사고는 예방할 수 있었던 참사"라면서 사고를 일으킨 김모 일병에 대해 부대원들의 소원수리가 3차례 있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점, 사고 이후 부상병 후송이 늦어진 점 등을 지적했다. 황진하(黃震夏) 제2 정조위원장은 "작년 9월 이후 10건의 군관련 사건이 발생, 14명의 장병이 사망했다"면서 "최근 연이은 군 사고는 군 내부의 미봉책과 미온적인 책임자 처벌, 참여정부의 주적개념 삭제 등 안보의식 해이가 초래한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병역의무 기피를 위한 국적포기를 불허하는 국적법 개정을 주도한 홍준표(洪準杓) 의원은 "과거 권위주의식 병영문화를 탈피하도록 병영문화를 개선해야 한다"면서 "계속 병영문화를 개선하겠다고 하면서 실질적인 개선이 이뤄지지 않은 데 대해 윤광웅 국방장관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병수기자 bings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