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와 과학은 역시 접점을 찾기 어려운 것일까.


15일 서울 명동성당 옆 주교관 집무실에서 만난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정진석 대주교와 황우석 서울대 교수는 서로 덕담을 나누며 헤어졌지만 기본적인 의견차는 여전했다.


이날 오후 3시 주교관 입구에 도착한 황 교수는 "어른께 배움을 얻으러 왔다"며 인사를 했고 정 대주교는 "국민에게 희망을 주시고 큰 공로를 세우신 분이 귀중한 시간을 할애해줘서 고맙게 생각한다"며 황 교수를 맞았다.


이어 집무실에서 비공개로 50분가량 만난 뒤 정 대주교는 "두 사람의 의견 차이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고,황 교수도 "꾸지람을 들으러 왔는데 큰 가르침을 받고 돌아간다"며 "시각차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본적인 견해차는 좁히지 못했다.


정 대주교가 "배아줄기세포보다 성체줄기세포를 활용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점을 숙고해달라"고 한 데 대해 황 교수는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성체줄기세포 연구는 서로 모자라는 점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이뤄져야 하며 상호보완적인 연구가 성공할 때까지는 이해해주셨으면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천주교는 수정을 인간 생명의 시작으로 보고 있어 배아를 파괴하는 것은 인간파괴며 황 교수의 줄기세포 역시 '인간 배아'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황 교수는 "난치 환자로부터 직접 얻은 피부세포를 체세포 핵이식 기술로 유도한 서울대 연구팀의 줄기세포는 난자와 정자의 결합이라는 수정의 과정을 일체 거치지 않았으며,착상의 가능성이 전혀 없어 생명으로 발전할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이해를 구했다.


그러나 체세포를 이식한 배아도 인간으로 보는 게 천주교의 입장.


황 교수측은 "성체줄기세포 연구 성과가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한계를 모두 보완하게 된다면 연구를 접을 수 있다"며 천주교측의 우려를 달랬다.


이런 기본적 견해차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의 이날 회동은 민감한 문제에 대한 소모적 논쟁을 피하는 대신 종교인과 과학자가 직접 만나 의견을 모아가는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