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분쟁 지역은 1895년 청·일전쟁 이후 영유권 분쟁이 그치지 않고 있는 댜오위다오(釣魚島)가 포함된 동중국해다. 이곳은 석유와 가스 매장량이 흑해 유전과 비슷한 72억t으로 추정돼 '제2의 중동'으로 불리는 자원의 보고다. 중국은 이 수역에 CNOOC를 통해 12개 광구를 설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중 하나인 춘사오 천연가스전은 중·일 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는 곳이다. 중국이 지난해 9월 시추 장비를 설치하자 일본은 배타적경제수역(EEZ)을 침범했다며 탐사자료 제공과 매장량 배분을 요구했다. 중국과 일본은 두차례 협상을 가졌지만 입장차만을 확인하는 데 그쳤다. 지난달 30~31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2차 동중국해 가스전 분쟁 협상에서도 일본은 중국에 가스전 개발 중단을 요구했지만 중국은 가스전 개발이 주권을 행사한 것이라며 거부했다. 수역의 폭이 400해리에 못 미쳐 EEZ가 겹치는 동중국해의 경계와 관련,일본은 정중앙 지점에 중간선을 그어 경계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데 반해 중국은 대륙붕이 일본 오키나와 서쪽 해구까지 뻗친 만큼 이곳까지가 전부 자국의 EEZ라며 맞서고 있다. 태평양의 작은 암초를 놓고도 중·일은 영토 분쟁을 벌이고 있다. 이 곳 주변엔 막대한 양의 코발트 망간 등이 묻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오키노토리 주변 반경 200해리 바다가 EEZ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중국은 '섬이 아닌 바위'라며 일본의 영토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일본은 산호초 오키노토리 주변에 철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매년 2억엔의 시설 관리비를 투입해 왔다. 파도에 의한 침식을 막아 바위가 아닌 '섬'임을 입증하기 위해서다. 중국은 한국의 영토도 넘보고 있다. 한국이 석유 탐사를 진행 중인 서해안 군산 앞바다 대륙붕이 그 곳이다. 중국 군함이 작업 중이던 우리 석유 탐사선에 접근,무력 시위를 하는가 하면 중국 관영 언론들까지 가세해 공세를 펴고 있다. 신화통신의 자매지인 국제선구도보는 지난해 7월 "한국이 중국의 동의 없이 서해 대륙붕에서 석유 탐사를 진행해 중국의 해양 주권 및 권익에 피해를 줬다"며 "중국 해군은 영해의 안정을 지키기 위해 유사시 무력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남중국해의 난사군도 일대 역시 중국과 필리핀 베트남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등이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는 곳이다. 하지만 지난달 후진타오 주석의 동남아 3국 방문을 앞두고 해빙 무드가 조성되기 시작했다. 중국 필리핀 베트남 3국의 석유회사들이 공동으로 석유자원 탐사를 실시키로 하는 계약서에 서명한 것. 그러나 CNOOC가 올해와 내년 모두 22억달러를 투입해 중국 인근 해역의 자원을 집중적으로 개발할 계획이어서 주변국들과의 마찰이 더욱 고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베이징=오광진 특파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