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4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ore CPI)가 보합세를 보인 것을 두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크게 완화됐다는 분석이 대두했지만 이는 그리 반길만한 일이 못된다고 뉴욕 타임스가 지적했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18일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0.5% 상승했으나 석유, 에너지 등 변동성이 큰 상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달에 비해 변동이 없다고 발표한 바 있다. 타임스 사설은 "근원 인플레이션의 하향안정화는 과열없는 경제성장을 의미하며 4월의 물가지표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종전과 마찬가지로 점진적인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졌고 이에 따라 금융시장은 강세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사설은 그러나 "근원 물가지수는 금융시장에는 의미가 있을지 몰라도 실제의 인간은 식량과 휘발유를 구입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 지수가 안정을 유지했다는 이유만으로 일반 가정이 반길 이유는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사설은 "더욱이 저소득 가정일수록 식량이나 휘발유 구입에 들어가는 비용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고 비(非) 관리자급 근로자들의 소득 자체도 인플레이션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며 식량 및 에너지 가격의 급등이 서민생계에 미치는 타격을 강조했다. 사설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서민계층이 택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은 더 일하는 것 뿐이며 실제로 4월 근로일수가 길어졌다는 통계도 있었다"면서 "그러나 인플레이션은 추가근로로 인한 소득 증가분 이상을 잠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설은 "지금까지는 저금리에 따라 쉽게 얻을 수 있는 대출때문에 근로자들의 구매력 저하가 눈에 잘 띄지 않았지만 이와 같은 부채는 순식간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따라서 최근의 인플레이션 지표는 환호 못지 않게 우려의 대상"이라고 강조했다. (뉴욕=연합뉴스) 추왕훈 특파원 cwhyn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