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미국의 환율조작국 경고에도 불구하고 서둘러 위안화 평가절상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미 정부 요구를 수용하는 것은 외압에 대한 굴복으로 비쳐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최근 "위안화 환율개혁은 중국의 주권인 만큼 외부의 압력에 굴복해 실시하지는 않겠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인민은행 대변인도 18일 미 환율보고서에 대한 논평에서 이 같은 원 총리의 발언을 상기시키며 자국 계획에 따라 환율개혁을 진행할 것임을 재확인했다고 다우존스가 전했다. 보시라이 중국 상무부장(장관)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는 그러나 "미국의 의견을 연구 평가 중"이라고 밝혀 환율제 개혁 준비가 빨라질 것임을 예고했다. 중국 현지에서는 미 정부가 정한 시한(6개월)이 지난 직후인 연말께 중국 정부가 금융개혁의 중요 과제로 상정하고 있는 중국은행과 건설은행 등 국유은행의 해외증시 상장을 마치고 위안화 환율변경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중국은 우선 환율 재평가에 앞서 외환시장 개혁,위안화 절상 압력 최소화 등에 힘쓸 것으로 보인다. 이날 상하이 외환시장에서 8종의 외국통화 간 거래가 시작된 것도 이의 일환이다. 중국은 이와 함께 국제수지 균형과 핫머니 유입의 억제 등을 통해 위안화 절상 압력을 줄여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수출억제 강화와 연내 내국인의 해외증시 투자 허용 등 후속 조치가 뒤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의 부동산 안정 대책과 외자은행 단기 외화차입 한도 축소에 이은 핫머니 유입 억제조치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외자은행의 단기 외화차입 한도를 축소하고,불법 외환거래 기업의 명단을 공개키로 한 것은 대표적인 예다. 중국에서는 지난해 외환보유고가 2000억달러 증가했는데 이 가운데 1000억달러가 투기성 자금으로 추정된다. 위안화 절상 이후 핫머니가 급격히 유출될 경우 위안화는 오히려 절하압력을 받고,금융시스템은 붕괴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중국은 기업이 환율 위험을 헤지할 수 있게 위안화 선물 등 파생상품 거래를 활성화하고,건설은행과 중국은행의 연내 해외증시 상장을 독려하는 등 금융개혁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은 이 같은 여건이 무르익은 후 환율 변동폭을 단계별로 확대하는 방식으로 위안화 절상 수순을 밟아나갈 것으로 현지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위안화 환율 하루 상하변동폭을 현행 0.3%에서 10% 이내로 확대하는 것은 용인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복수통화 바스켓제도도 거론되고 있으나,이 같은 환율변동폭 확대가 이뤄진 후 도입될 것이란 관측이 강하다. 베이징=오광진 특파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