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관련 지표들이 엇갈린 신호를 보내고 있다. 최근의 고용 사정은 점진적인 회복세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지만 이를 뒷받침하기엔 아직 증거가 불충분한 상황이다.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4월 중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실업률은 3.6%로 3월(3.9%)에 비해 0.3%포인트 떨어졌다. 8%대의 고공행진을 해온 청년층(15∼29세) 실업률도 전달(8.5%)보다 0.7%포인트 하락한 7.8%를 기록했다. 7%대 청년실업률은 작년 11월(7.3%) 이후 5개월 만이다. 일단 표면상으론 고용 사정이 점차 개선되는 양상이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오히려 반대 신호를 보이는 지표들이 적지 않다. 대표적으로 기후 명절 등 계절적 특수성을 제거한 계절조정 실업률은 지난달 3.6%로 3월(3.5%)보다 오히려 0.1%포인트 올랐다. 4월의 실업률 하락(3.9%→3.6%)은 계절적인 덕을 많이 본 셈이다. 작년 4월(3.4%)에 비해서도 계절조정을 하지 않은 실업률은 0.2%포인트 상승했다. 4월만 견줘보면 지난달 실업률은 2001년(3.9%)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취업자 수(일자리) 증가 폭을 놓고도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정부는 2월 중 8만명 수준이던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수 증가 폭이 3월 20만5000명,4월엔 26만2000명으로 꾸준히 커지고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올 1∼4월 평균으로는 17만여명에 그쳐 정부의 일자리 창출 목표(40만개)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고용의 질 역시 헷갈리는 대목이다. 임금 근로자가 전년 동월 대비 2.1% 늘어난 반면 비임금 근로자는 0.6% 줄어 질적으로 다소 개선 조짐을 보였다. 그러나 임금 근로자 중 일용직 근로자 증가 폭이 3월(3만1000명)의 두 배 이상인 7만1000명에 달해 '무늬만 개선'에 머물렀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