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민영화를 앞둔 대한투자증권의 자회사 부실채권을 정부가 떠안을 예정입니다. 민영화 이전에 부실자산을 처리하자는 논리인데, 과연 자회사 부실채권까지도 정부가 인수해야 하는건지 논란이 예상됩니다. 김호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민영화를 앞두고 정부는 대한투자증권에 들어갈 공적자금 가운데 절반 가량인 6,000여억원을 자회사 부실채권 매입에 투입할 계획입니다. 대한투자증권은 과거 프라이머리CBO 발행을 통해 사들인 국내 기업 채권을 개인들에게 나눠 판 후 운용은 자회사인 대한투자신탁운용에 맡겨 왔습니다. 하나은행에 매각을 앞두고 정부는 왜 대투의 자회사 채권들을 사들이는 걸까? CG1>예금보험공사는 자산건전성 지표에 자회사의 수익도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CG2>그러나 또 다른 매각 관련자는 자회사 부실채권 매입과 대투의 자산건전성 지표인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은 관계없다고 전했습니다. 대투에 앞서 한국투자증권을 동원금융지주회사에 매각할때도 하이닉스 주식 등 영업에 필요하지 않는 자산을 예보가 사들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번건의 경우 대투가 직접 보유 자산이 아닌 자회사를 통해 운용하다가 발생한 부실에 과연 공적자금을 투입해야 되느냐는 논란이 제기됩니다. CG3>이에 대해 예보는 정부가 떠안아 주지 않을 경우 운용 손실에 대해 투자자들로부터의 집단 소송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설명을 추가했습니다. 소송에 휘말릴 경우 임박한 대투 매각이 무산될 가능성도 지적했습니다. CG4>한편 대투 관계자는 과거 한국투자증권과 비교해 채권에 대한 공적자금을 받지 못했던 것을 이제 받게 되는 셈이라고 전했습니다. 정부가 금융회사 부실의 어디까지를 지원해 줘야 하는지 합리적인 기준이 절실해지는 시점입니다. 와우티비뉴스 김호성입니다. 김호성기자 hs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