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이탈리아, 파키스탄 등 116개국 대표들은 11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에서 일본과 독일, 인도, 브라질 등 이른바 G4의 유엔 상임이사국 진출에 반대하는 `합의를 위한 단결(Uniting for consensus)' 모임을 갖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일방적 확대에 반대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특히 상임이사국 확대에 대한 거부권을 갖고 있는 미국과 중국도 이날 모임에 참석, `안보리 개혁은 기한을 정하지 않고 폭넓은 합의를 한 뒤에 추진해야 한다'며`합의를 위한 단결'의 입장을 지지했다. 이에 따라 오는 6월 국가명은 정하지 않은 채 상임이사국 6개국을 증설하는 안 을 유엔총회에서 결의안 형태로 통과시킨 뒤 11월 총회에서 비밀투표를 통해 상임이사국에 진출한다는 일본의 계획은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엔총회에서 결의안이 통과되려면 191개 회원국의 3분의 2인 128개국의 지지를 얻어야 하며, 따라서 64개국 이상이 반대할 경우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출 노력은 일단 무산된다. 이날 모임의 의장인 지안프랑크 피니 이탈리아 외무장관은 "각국 대표들이 안보리 개혁을 위해서는 합의가 중요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면서 "특히 안보리 개혁의 시한을 설정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고 말했다. 중국의 왕광야 유엔대표부 대사와 미국의 하워드 스토퍼 유엔대표부 공사도 발언권을 신청, 유엔 개혁에 대한 인위적 시한을 설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합의가 이루어지기전 표결을 하는 것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우리측 대표로 참석한 천영우 외교부 외교정책실장은 "미국과 중국이 강력한 어조로 인위적 시한설정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하고 "이는 G4에 대한 중요한 메시지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천 실장은 "러시아도 비공식적으로 G4의 무리한 추진에 제동을 걸어왔다"면서 "G4가 무리한 밀어붙이기를 계속할 경우 미ㆍ중ㆍ러 등 3개국의 태도가 더 강경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커피 클럽'으로도 불리는 이날 모임에는 116개국과 3개 국제기구 대표들이 참석, 향후 세부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후속조치로 실무그룹을 구성해 가동키로 했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뉴욕=연합뉴스) 이래운 기자 lr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