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이헌재' 체제의 경제정책이 어떻게 운용될지가 관심이다. 시장과의 조화를 추구했던 이헌재식 정책이 지속될 수 있을 것이냐가 최대 관심사다. 침체경기를 되살릴 '구원투수'로 투입됐던 이 부총리가 취임 13개월 만에 중도하차함에 따라 회복의 실마리를 찾고 있던 경제에 '선장 교체'에 따른 혼란은 불가피해졌다. ◆정책기조는 변화 없을 듯 청와대와 재정경제부 등 정부에선 이 부총리의 사퇴로 인해 경제정책 기조가 흔들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일단 강조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는 올해 경제정책의 큰 틀을 단기적으로는 4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지속 성장을 위한 성장잠재력을 높이는 것으로 이미 설정했다"며 "이러한 정책목표는 후임 경제부총리가 누가 되든 간에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특히 정책 운용이 한두 사람에 의해 좌우되지 않고 시스템 아래 움직이는 구조를 만들어놓은 만큼,경제에 미칠 충격은 없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재경부 관계자도 "올해 경제운용 방향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 초까지 이미 확정해 놓았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상반기 중 재정을 조기 투입하고,하반기엔 항만 등 사회간접자본(SOC)과 복지시설 건설 등 종합투자계획을 실행에 옮김으로써 5% 성장을 뒷받침하는 정책에 이미 돌입했다고 재경부는 설명했다. 또 이 부총리가 기초를 다진 △생계형 신용불량자 구제대책 △개방과 경쟁을 통한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부동산투기는 억제하되 건설경기는 부양하는 정책 △중장기 세제개편 △투자은행(IB) 육성 등 금융선진화 방안 등은 차질 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분배론 목소리 높아질까 개혁 원칙론자들의 틈바구니에서 카리스마와 소신을 갖고 분배 우선주의를 견제해왔던 이 부총리의 역할을 누가 대신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구심을 나타내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이 부총리는 지난해 2월 11일 취임 일성으로 "성장에 중점을 두겠다"며 개혁 우선주의자들에 대한 포문을 열었다. 곧이어 아파트 원가연동제를 반(反)시장주의 정책이라고 반대했으며,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해 골프장을 2백여개 짓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여권 내 '386'실세들로부터 집중포화를 맞기도 했다. 또 부동산시장 회복을 위해 1가구3주택 양도세 중과시기를 다소 늦춰야 한다고 강조하는 등 '실용적 부동산정책론'을 펴기도 했다. 한 민간연구소 임원은 "이 부총리가 재임 1년 동안 좌회전하려던 경제의 운전대를 어렵사리 가운데로 잡아놓았다"며 "이제 막 되살아날 기미를 보이고 있는 경기회복 추세를 이어가려면 후임 부총리도 이런 역할을 할 수 있는 인물로 선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