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과 민주당은 7일 이헌재(李憲宰) 부총리의 자진 사퇴에 이은 대통령의 사표수리에 대해 "늦었지만 다행"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양당은 이번 파문을 계기로 청와대가 인사검증체계를 완벽히 정비해 이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할 것을 한 목소리로 촉구했다. 민노당 홍승하(洪丞河)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이 부총리의 사퇴는 늦긴 했지만다행스러운 일"이라며 "이번 일을 인사시스템 점검과 공직사회 부패 척결을 위한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홍 대변인은 이 부총리의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해선 "철저한 조사를 통해 한점의 의혹 없이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상정 의원단 수석부대표는 이번 파문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고 ▲고위공직자백지신탁제 도입 ▲공직자 재산신고 내용에 재산형성 과정 반영 ▲공직 퇴직 후 취업제한 업종 범위 확대 ▲직무상 취득한 기밀 이용 금지 ▲공직자의 의회 진출시 일정 기간 관련상임위 제척 ▲국무위원 인사청문회 실시 등을 공직자 부정 방지를 위한 정책대안으로 제시했다. 민주당 유종필(柳鍾珌) 대변인은 논평에서 "청와대는 경제 회생을 위해 이 부총리를 유임시킨다고 했지만 서민들의 억장이 무너지는데 경제 회생이 될 수 있느냐"며 "뒤늦게나마 스스로 거취를 결정해 다행"이라고 밝혔다. 유 대변인은 이어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투기 의혹의 장본인을 `투기와의전쟁'을 수행하는 수장으로 유임시키려 한 것은 연탄장수에게 밀가루 반죽을 만들라고 하듯 `검은 백마'를 만들려 했던 것"이라며 "철저한 반성을 통해 이 같은 일의재발을 방지해 달라"고 촉구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승우기자 lesli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