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세일(朴世逸) 정책위의장은 26일 정부.여당이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으로 외교.국방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정부부처를 옮기는 방안을 채택한데 대해 위헌가능성을 제기했다. 박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여당 안은) 헌법재판소 결정 자체를 위반하는 것이 아니냐"면서 "헌재가 결정한 것에 대한 직접적인 거부가아닌가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것은 분권화이며, 중앙의 조직을줄이고 지방으로 권한을 이양해 지방발전의 원동력이 되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주장했다. 그는 이어 국가보안법 개.폐 등 미합의 쟁점법안 처리 전망과 관련, "이들 법안은 별도의 기구를 둬서 심층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임시국회에서 토픽으로 삼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과거사 논란'과 관련해서는 "현대사가 새로운 사료에 기초해서 균형있게 정리해야 할 부분이 많지만 그것은 역사학자가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정책위의장은 개헌논의에 대한 질문에는 "우리 헌법에 대해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제한 뒤 "기본권, 영토조항 등 시대에 맞지 않은게 많은데전반적으로 시대에 맞도록 재검토할 필요가 있고 이것은 전문가들이 시작해야 한다"면서 "정치권이 이 문제를 받아들이는 것은 상당히 (시간이 흐른) 후에 하는 것이좋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성무 안용수기자 tjdan@yna.co.kr aayys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