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그룹의 주력 계열사 ㈜코오롱의 인력 구조조정이 해를 넘기며 장기전으로 돌입했다. 지난해 12월부터 희망퇴직 접수를 시작한 회사측은 올해 들어서도 접수 기간을연장했고 이에 노조는 회사가 개별면담을 통해 직원들의 퇴직을 종용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코오롱은 지난해 12월 연봉제사원과 구미, 김천, 경산 공장의 비연봉제 사원에 대해 희망퇴직을 접수한 뒤 이달 4일부터 11일까지 구미공장에 대해 추가로 희망퇴직을 접수하고 있다. 회사는 정확한 감원 계획과 현재까지의 퇴사 직원수를 밝히지 않고 있으나 희망퇴직 기간을 계속 연장하고 있는 것으로 미뤄 아직까지 감원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회사 관계자는 "이달 11일까지 희망퇴직을 받은 뒤 기간을 연장할 지에 대해서는 결정된 것이 없지만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때까지 인원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혀 이후에도 희망퇴직 접수기간을 연장할 수도 있음을 암시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회사가 희망퇴직을 통한 감원 계획이 제대로 되지 않자 직원들과의 개별면담을 통해 퇴직을 종용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이는 명백한 단체협약위반이기 때문에 경찰서와 지방노동위원회에 고소장을 접수했다"고 말했다. 노조는 또 "최근 협상에서 회사가 감원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임금을 조정하겠다는 안을 내놓기도 했지만 이는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회사측과 평행선을달리고 있다. 이처럼 인력구조조정을 놓고 노사간의 갈등이 해결되지 않자 지난 3일 강도높은구조조정을 골자로 한 신년 경영계획을 발표한 코오롱그룹이 제대로 된 경영혁신을이룰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최태용기자 ct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