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청년층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이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청년실업난으로 경제활동의 국제 경쟁력이 그 만큼 저하됐음을 의미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6일 한국노동연구원의 `2004 해외노동통계'에 따르면 2003년 기준 한국 청년층(14∼24세, 군인 제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4.0%로 주요 OECD 회원국에 비해 전반적으로 뒤떨어졌다. 호주(67.7%), 영국(67.6%), 미국(61.6%), 스웨덴(52.3%), 독일(47.4%), 일본(44.8%) 등에 비해 크게 낮았고 프랑스(30.2%)와 대만(33.9%)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28.0%)은 영국(71.1%), 호주(69.0%), 미국(63.9%),스웨덴(51.9%), 독일(49.4%), 일본(45.2%), 프랑스(33.8%), 대만(30.8%) 등에 비해현저히 낮았다. 청장년층(25∼54세)도 75.3%에 머문데 반해 스웨덴(87.8%), 프랑스(86.4%), 독일(86.0%), 영국(84.1%), 미국(83.0%), 대만(82.3%), 일본(82.1%), 호주(80.6%) 등은 80%대를 넘어서 대조를 이뤘다. 청년층과 청장년층의 고용률도 각각 30.8%와 73.1%로 영국(59.8%, 80.9%), 미국(53.9%, 78.8%), 스웨덴(45.0%, 83.5%), 독일(42.4%, 78.2%), 호주(59.9%, 76.9%),일본(40.3%, 78.3%) 등에 비해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노동연구원 김용현 연구원은 "대학 진학률 등 다른 나라와 청년층이 처한 상황이 다소 다르긴 하지만 경제활동참가율이 현저히 낮은 것은 한국의 심각한 청년 실업이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이는 경제활동에 관한 청년층의 국제 경쟁력이 그 만큼떨어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10월 현재 국내 청년층(15∼29세) 실업자는 35만5천명으로 전체 실업자 77만2천명의 46.0%에 달했고 실업률은 7.2%로 전체 평균(3.3%)의 2.2배인 것으로 통계청은 집계했다. (서울=연합뉴스) 한승호 기자 h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