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인 대표회담' 결렬이후 국가보안법 등 주요 쟁점법안의 처리를 놓고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대치중인 가운데 양당 원내대표가 29일 김원기(金元基) 국회의장 주선으로 국회의장실에서 회동을 갖고 쟁점법안처리 문제를 놓고 막바지 절충을 시도했다. 열린우리당 천정배(千正培), 한나라당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4시15분부터 40여분 동안 국가보안법 등 `4대 법안'과 투자활성화 관련 3법 등의 처리 및 '4인 대표회담' 재개 문제 등을 협의했다. 천 원내대표는 국회법 절차에 따른 쟁점법안 처리를 주장한 반면, 김 원내대표는 여야 합의처리를 주장하면서 여당의 강행처리 시도시 저지 입장을 밝혀 구체적인합의에는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양측은 신문관계법과 과거사법 등 여야간 이견이 좁혀진 두가지 안건을우선 처리하는 방안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알려져 30일 본회의 처리에 합의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천 원내대표는 회동후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잘 안된다"며 말을 아꼈고, 김 원내대표는 "정국을 이대로 둘 수는 없지 않느냐는 차원에서 만난 것이고 현안에 대해이런저런 얘기를 했다"면서 "현재로서는 진전된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당의 원내 관계자는 "(신문법과 과거사법) 두 개의 법안은 사실상 합의된 것이 아니냐"며 "두 법안에 대해 얘기가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장은 양당 원내대표에게 대화와 합의를 종용했으나, 직권상정 문제에 대해서는 특별한 입장을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원내대표는 회동이 끝난후 이날 오후 5시45분께 김 의장을 별도로 방문해 쟁점법안을 직권상정하지 말아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앞서 우리당 이부영(李富榮) 의장과 한나라당 김 원내대표는 이날 낮 전화접촉을 통해 정국 정상화 방안을 협의하는 등 여야간 쟁점법안 처리를 위한 물밑대화가 진행중이어서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맹찬형기자 mangel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