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자전환을 놓고 채권단과 LG그룹의 극한 대치 정국을 보이는 가운데, 양 측 모두 뾰족한 해결책과 차선책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서로 명분 쌓기를 위한 시간 끌기전략에 돌입한 양상입니다. 채권단은 LG카드 사태 발생 이후 이미 3조 5천억원의 출자전환을 통한 지원을 이미 단행했기에 LG그룹도 추가 출자전환에 참여하라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LG그룹 역시 대주주인 구본무 LG그룹 회장의 돈을 쉽사리 출자전환하라는 데 동의하지 못하는 입장입니다. 결국 이번 문제는 LG그룹 대주주의 추가 출자의 규모를 최소화하는 한편, 계열사와 LG그룹사들이 일정 부분 로스컷(손절매)하는 규모선에서 출자를 떠앉는 방안이 조심스럽게 관측되고 있습니다. LG그룹의 경우 LG카드 상장 당시 LG전자를 비롯해 LG그룹 대주주들은 LGCI와 LGEI에서 지주 체제로 전환을 위한 자금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LG카드 주식을 집중 처분했습니다. 결과적으로 LG카드는 LGCI와 LGEI에서 지주회사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상장돼 그룹 분리를 위한 자금마련의 희생양이 된 것이라는 게 카드업계의 중론입니다. 하지만, 이같은 상황에서 카드사태가 나기 전까지 LG카드의 대주주들은 상장 첫 해였던 지난 2002년 주당 1,750원의 현금 배당금을 챙겨 갔습니다. 또, LG전자는 구주 매출을 통해 주당 5만 8천원이던 공모가에 400만주를 처분했습니다. 카드 사태가 난 이후 LG그룹에 대해 채권단은 구본무 LG그룹회장의 (주) LG주식을 담보로 잡아 1차 출자 이행을 받아냈습니다. 2차 카드 사태가 1년 가까이 지난 지금 LG카드에 대해 출자하라는 것은 채권단도 명분이 없는 상탭니다. 그렇다고, LG그룹 대주주도 손뗀지 오래 됐다는 이유만으로 당시 금융시장 붕괴를 가져올 뻔 했던 LG카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기에는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계열사와 대주주가 카드 사태를 책임지고 마지 못해 참여했던 후순위전환사채와 기업어음 인수에 대해 출자전환을 하려면 채권단도 LG그룹에 최소한의 선물과 명분을 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금융시장의 붕괴와 도덕적 해이에 대한 책임 명분보다는 실질적으로 LG그룹에게 도움이 되는 명분과 실리를 챙겨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가장 큰 대안은 대주주의 손실을 최소화해 주는 한편, 계열사에 대한 부담도 적게 하는 방안이 마련되면 의외로 LG카드 증자 문제는 쉽게 풀릴 전망입니다. 예를 들면, 보통주 전환이 가능한 우선주 출자전환이나 LG그룹의 향후 통신사업 확장에 대한 채권단의 신디케이트론 오픈과 참여 등도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전 대주주로써 책임을 느끼고 당연히 참여해야 한다는 채권단 입장과 대주주와 그룹사들의 출자전환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LG그룹의 입장은 평행선을 달릴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양재준기자 jjyan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