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25일 3부 요인 및 여야4당 대표와의 만찬 회동에서 북핵 문제와 관련한 `한국의 주도적 역할'에 대한 의미를 상세히 설명했다. 한나라당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의 질문에 대한 답변 형식으로 설명이 이뤄지기는 했으나, 이는 지난 20일 한미 정상회담 과정에서 거론된 `주도적 역할론'을 둘러싼 구구한 억측의 확산을 막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주도적 역할론'은 "정부가 남북정상회담 카드를 만지고 있는 것 아니냐", "6자회담이 아닌 대북관계를 북핵 해법의 주요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 아니냐" 등다양한 관측을 나았다. 특히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재선으로 미 외교안보라인이 강경파로 채워짐에따라 한국 정부가 북핵 문제 해결에 있어 미국과의 공조에만 매달리지 않겠다는 뜻을 표명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하지만 노 대통령은 이날 만찬을 통해 `한국의 주도적 역할론'은 북핵 문제 해결의 유용한 틀로 작용하고 있는 6자회담을 비롯해 긴밀한 한.미.일 공조를 전제로하는 것임을 분명히 했다. 노 대통령은 "우리가 다른 데를 제치고 우리가 앞장서서 문제를 다 주도해 나가겠다는 의미가 아니라, 6자회담 틀내에서 한.미.일 공조를 중심으로 우리 의견을 적극적으로 내겠다는 의미"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작년 이후 무력행사가 얘기되던 상황부터 평화적 해결, 대화에 의한해결, 그리고 최근 한미 정상회담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이 주도적 역할에 해당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은 또한 "현재 6자회담 내지 북핵 문제와 관련, 조급하게 해결하려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인내심을 갖고 원칙과 정도에 따라 대처해 나갈 생각"며 6자회담의 안정적 관리에 주력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앞서 정동영(鄭東泳) 통일부 장관도 이날 국회 남북관계발전특위에 출석, "한미정상회담 당시엔 `주도적 역할'이라는 개념은 사용되지 않았다"며 "적극적이고 능동적 역할이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또한 "한국의 주도적 역할은 한미정상회담에서 이미 부분적으로 이뤄졌다"면서 "노 대통령의 이니셔티브로 북핵의 평화적, 외교적 해결에 대한 합의가이뤄지고 북핵 6자회담이 가급적 빨리 열리도록 한다는 게 그 예라고 생각한다"고말해 노 대통령의 발언과 맥을 같이 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