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문제는 단순히 북미간 문제가 아니라 북핵 6자회담 참여국 모두 함께 논의해야 할 문제이나 이것이 6자회담 틀내에서 북한과 각국간 건전한 양자대화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미국도 북한과 양자간 현안에 관해 대화할 수 있다"고 미 국무부 관계자가 23일 말했다. 이 관계자는 워싱턴시내 내셔널 프레스센터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이제 북한은 6자회담에 복귀해 (핵포기라는) 전략적 결정을 내려야 할 때"라며"이같은 전환점을 계기로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 등 단순히 한반도 비핵화 차원을 넘어 전반적인 긴장 완화를 통해 아직 한반도에 남아있는 냉전구조 해체를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그는 재래식 군비 축소, 미사일 문제 등을 양자간, 혹은 다자간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하고 6자회담을 `혁명적 대화의 틀'로 부르기도했다. 그는 북한 핵에 대해 "영구적이고, 투명하며, 포괄적으로 해체돼야 한다"고 말하고 그동안 북한이 심한 거부반응을 보여온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해체(CVID)'라는 용어를 피함으로써 주목된다. 그는 지난 제3차 북핵 6자회담에서 제시된 북한측 안과 관련, 북한의 비핵화 대상이 "1992년 이전 핵물질이나 우라늄 핵물질도 포함하는 것인지 알아봐야 한다"고말했다. 그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로스앤젤레스 연설에 대해 "북한 핵이 제거돼야하며 6자회담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북한 핵문제의 규정과 방법면에서매우 뚜렷한 입장을 밝힌 좋은 연설이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 연설에 대한 국무부의 반응가운데 `한미간 협의 필요' 대목이 미국측의 이견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 데 대해 그는 "북한을 복귀시켜 6자회담을 진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 지금까지 한미간 그래온 것처럼 계속 협의해 나간다는 뜻이었지, 어떤 이견을 함축하기 위한 표현은 아니다"며 "그런 혼란을 일으킨켰다면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미국은 남북간 관계 개선을 적극 지지하며, 남북대화가 6자회담과 매우 매우 합치되며(congruent), 6자회담 진전에 도움이 된다(supportive)고생각한다"고 말하고 "중국과 일본 등 각국의 대북 양자대화가 북한의 결정에 집단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이 6자회담에 계속 복귀하지 않을 경우에 대해 그는 "수동적으로 (복귀를)기다리고만 있지 않고, 집단적으로, 능동적으로 행동할 것"이라고 말해 한국, 일본,중국, 러시아 등 다른 6자회담 참여국들이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위한 설득과 압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최근 조지 부시 대통령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부시 대통령 재선이후에도 북핵 문제의 6자회담을 통한 외교적 해결 정책에 변함이 없다"며 "부시 대통령은 북한의 정권교체가 목표가 아니라고 했으며 우리는 대북 인권정책 등을 적대정책이라는 표현하는 것을 거부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북 강경입장의 보수인사들이 국무부에 포진할 경우 대북 정책 변화 가능성에 대해 "누가 국무부에 들어오든 부시 대통령의 뜻에 따라 정책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평화적 해결이 최선이라는 대통령의 뜻을 거스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북한 내부의 이상동향설과 관련, 그는 "평양에 공관을 둔 유럽연합(EU)측과 접촉이나 한국 정부와 정례적 접촉에서도 특별히 이상한 움직임을 듣지 못했으며, 북한 내부에 어떤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고 말하고 "그러나 갑자기 예상치 못한 일이 종종 일어나므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연합뉴스) 윤동영 특파원 yd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