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8일 미국 정부가 탈북자 전체에대해 집단망명 자격 부여를 검토하겠다며 기존 망명조건의 추가 완화 입장을 밝힌데 대해 엇갈린 입장을 보였다. 열린우리당은 공식논평을 자제하면서도 미국이 최근 북한인권법 통과에 이어 북한을 자극하는 요소로 작용하지 않겠느냐는 우려를 표명한 반면 한나라당은 미국의북한인권법 통과에 따른 예정된 수순 아니겠느냐며 환영하는 분위기였다. 김현미(金賢美) 대변인은 "미국 정부의 공식적 입장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당의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도 개인 의견을 전제로 "탈북자 문제로 북한을 지나치게 자극하는 것은 북한 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유지에 도움이 되지않는다고 본다"고 말했다. 지난 9월초 북한인권법 통과에 대한 항의 차원에서 미 대사관을 항의 방문했던정봉주(鄭鳳株) 의원은 "국무장관 교체와 함께 미 정부가 강성기조를 견지해나갈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라며 "미국의 일방주의가 발현됨으로써 한반도 전체가 긴장고조의 국면으로 흐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반면 한나라당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은 "탈북자 인권이라는 원칙적 입장에서필요한 조치라고 생각한다"며 "한나라당은 미국의 북한인권법에 대한 찬성 입장을밝혔으며, 거기에 대한 액션플랜(실행계획)이라고 본다"고 평가했다. 박성범(朴成範) 의원은 "부시 2기 행정부의 북핵 압박강도가 높아질 것을 시사한다"면서 "신속한 실행계획이 나온 것은 우리의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미온적 태도에 대한 메시지라고 본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중배 김경희 기자 jbkim@yna.co.kr kyung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