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4일 국회 의사일정을 8일째 거부한 채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해찬(李海瓚) 총리의 `망언규탄 및 파면촉구 대회'를 열고 대여공세를 오히려 강화했다. 하지만 당 일각에선 국회 파행이 장기화된 데 대한 정치적 부담과 2기 부시 행정부 출범 등을 이유로 국회 조기 등원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 당의 강경대응은 이날 대회를 정점으로 내리막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원외투쟁 이틀째인 이날 상임운영위와 규탄대회에서 현정권과 이 총리를 강한 톤으로 비난하며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게 이 총리 파면을 촉구했다.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상임운영위에서 "요새 노 정권은 민심불감증을 넘어민심불복증에 걸렸다"면서 "이제라도 노 대통령은 민심에 승복하고 국정을 쇄신해야한다. 이 총리를 파면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오(金炯旿) 사무총장은 "케리 후보가 (선거결과에) 깨끗이 승복해서 갈라진 미국이 하나로 뭉쳤으나 우리는 총리 때문에 국민과 국론이 하나로 뭉치기는 커녕 갈라지고 있다"며 이 총리 파면을 주장했다. 당 소속 의원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규탄대회에선 김문수(金文洙)나경원(羅卿瑗) 의원과 이동복(李東馥) 전 의원, 박효종 서울대 교수, 택시기사인 권기덕 태창운수 노조위원장 등이 나서 현정권과 이 총리를 강도높게 성토했다. 또 한나라당은 노 대통령에게 이 총리의 파면을 요구하고 이 총리의 대국민사죄및 사퇴를 요구하는 내용의 결의문도 채택했다. 그러나 겉으로 드러나는 대여강경 목소리와 별개로 당내에선 "지금까지 당의 입장을 충분히 알렸으니 등원해서 국회내에서 투쟁하자"는 주장이 세를 얻고 있다. 미 대선 결과에 따른 대책마련이 시급한 데다가 국회 장기파행으로 인한 여론의 비난을 고려해야 하며 무엇보다도 예산안 심의 등 민생경제 챙기기를 더이상 야당이 외면해선 안된다는 주장이다. 이와 관련, 당내에선 72시간내 표결을 실시해야 하는 이 총리 해임건의안을 낸뒤 본회의 표결을 계기로 등원하자는 견해와 일단 전격 등원한 뒤 이 총리에 대해선 파면권고결의안을 제출하고 총리는 정치적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으며 사퇴를 압박하자는 주장이 맞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당내에선 내주께 이 총리 사과 및 파면여부와 관련없이 한나라당의 전격 등원 및 국회 정상화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어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김병수 김경희기자 bings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