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1] 두 후보의 경제정책에따른 한국경제 영향, 짚어봅니다. 한국경제TV 이성경 기자 나와있습니다. 국내 전문가들, 두 후보의 경제정책 어떻게 평가하고 있습니까? [기자]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부시, 케리 두 후보 모두 경제정책에 관한한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통상 경제정책을 얘기할때 재정, 통상, 환율 3부분을 꼽습니다만 실제 두후보의 경제정책은 총론에서는 거의 유사합니다. 다만 각론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오히려 경제정책이 아닌 안보정책의 차이점이 한국의 경제적인 득실을 결정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앵커2] 성향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두 후보가 경제정책만은 비슷하다. 원인은 무엇입니까? [기자] 대규모 재정적자와 무역수지 적자, 이른바 쌍둥이 적자 때문입니다. 미국의 올해 재정적자는 4천억달러, 미국 GDP의 4%에 육박하는 천문학적인 수치입니다. 무역수지 적자도 지난해 5천억달러에 달해 미국 GDP의 5%에 달했습니다. 이같은 상황에서 미 정부가 운용의 묘를 발휘하기란 쉽지가 않다는 것입니다. 누가 당선되든 현재의 감세정책을 180도 전환할 수는 없으며 대미 무역흑자국에대한 통상압력은 거세질 것이고 달러약세는 용인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앵커3] 우리의 경우 통상정책에 특히 신경이 쓰입니다.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기자] 통상 자유주의를 견지하는 공화당에비해 보호주의 색채가 강한 민주당이 집권할 경우 통상압력이 더욱 거세진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앞서 지적했듯이 5천억달러에 달하는 무역수지 적자를 감안했을때 두 후보 모두 강도 높은 통상압력을 가할 것이라는데 전문가들은 대부분 동의하고 있습니다. 실제 자유무역주의를 견지해온 부시도 철강과 자동차 등에서 자국산업 보호조치를 서슴없이 발동하고 있습니다. 특히 친기업적인 부시는 낮은 비용을 좇아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는 이른바 기업의 아웃소싱을 암묵적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부시는 중남미 국가들과 적극적으로 FTA(자유무역협정)를 체결하는 등 지역주의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경우 우리나라 처럼 미국과 FTA를 체결하지 않은 국가들은 역차별을 받을수 있습니다. 한편 보호무역주의를 표방한 케리의 경우 좀더 노골적인 통상압력을 가할수 있습니다. 실제 케리는 집권후 120일 이내에 FTA를 비롯한 모든 무역협정을 재검토하고 노동과 환경기준를 엄격하게 적용할 방침이라고 공약했습니다. 이같은 정책의 이면에는 미국 기업들의 해외이전을 막아 미국내 고용사정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있습니다. 따라서 환경/노동 문제를 통상압력의 수단으로 활용하며 중국과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미수출국을 압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케리가 좀더 노골적이고 강하다는 것이지 부시도 자국산업 보호에 관한한 타협의 의지가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앵커4] 환율정책도 빼놓을수 없습니다. 두 후보,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까? [기자] 이또한 천문학적인 무역수지 적자를 감안했을때 어느 후보가 집권하더라도 약달러 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환율정책에 있어 누구의 압력이 더 거셀 것이냐는 점에서 전문가들의 시각은 조금 엇갈립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그동안 민주당이 대미흑자국 특히 중국을 향해 탐욕스런 환율조작을 강도높게 비판해 왔다는 점에서 케리의 환율압박의 강도가 더 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이 두후보의 정치적 배경을 들어 반대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 기업,특히 대기업의 지지를 받고 있는 부시는 수출경쟁력을 위해 달러약세를 용인할 것이고 금융권의 지지를 받고 있는 케리는 강한 달러를 선호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금융권에서는 강한 달러를 통해 국제자본을 미국으로 유인해 주식과 채권시장 등 금융시장의 호황을 갈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부시의 경우 약한달러가 결국 금리인상을 부추겨 경기에 부담을 주고 케리의 경우 강한달러로 무역적자가 더욱 커지는 부작용을 걱정하지 않을수 없습니다. 결국 두 후보 모두 급격한 변화를 원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앵커5] 결국 두후보의 재정, 통상, 환율정책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누가 되든 경제적 변화는 없다는 얘긴가요? [기자] 결국 변수는 국제유가입니다. 두 후보의 차이점은 경제정책이 아닌 안보정책에서 결판이 나는 것입니다. 아시다시피 공화당의 부시는 대이라크, 즉 중동정책에 있어 초강수를 두고 있습니다. 이경우 유가불안은 불가피합니다. 일각에서는 부시가 석유산업에서 성장했다는 성장배경까지 들고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 부시 행정부는 원유공급에 대한 불안감이 극도에 달한 시점에도 전략비축유, SPR의 방출을 주저했습니다. 반면 민주당의 케리는 중동정책에 있어 부시 보다 유연한 입장이고 전략비축유를 과도하게 쌓아둘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니다. 따라서 최근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유가는 케리의 당선을 선호합니다. 이 부분에서는 이론이 없습니다. 현재 미국, 일본 등 대부분의 국가들이 내년 성장률을 올해보다 낮춰잡고 있습니다. 이같이 낮아진 성장전망도 2가지 전제가 있는데 하나는 테러가 없어야 한다, 나머지 하나는 국제유가가 50달러를 넘지 않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앵커6] 북한문제가 걸려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어느 쪽이 유리합니까? [기자] 통상 부시 보다는 케리가 좀 낫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지만 좀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 부시는 재선에 성공하면 이라크 문제에 이어 북핵 문제를 본격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라고 공언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시 행정부는 북-미 양자협상을 일관되게 거부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6자회담을 무력화하면서 북한에 대해 강한 압박을 행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경우 한반도의 불안정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반면 케리는 6자회담의 유용성은 인정하지만 북한과 양자회담을 통해 북핵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습니다. 이경우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미국은 경제지원으로 화답할 가능성이 높아 한반도의 불안정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점에서는 케리의 당선이 다소 유리합니다. 하지만 역설적인 전망도 있는데 케리 후보 진영이 북한과의 대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협상이 결렬될 경우에는 북한봉쇄 또는 공격론이 더욱 득세하며 북핵 위기가 고조될 가능성도 있다는 것입니다. [앵커7] 결국 두 후보의 경제정책은 비슷하거나 서로 상쇄되는 반면 외교정책에따른 국제유가와 북핵리스크는 케리쪽이 다소 유리하다는 결론입니다. 그렇다면 미 월가는 누구를 지지합니까? [기자] 통상 월가는 친기업적인 공화당을 지지하는 듯 보이지만 로버트 루빈으로 대표되는 금융권은 케리를 지지하니 전통적인 이분법은 좀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결국 월가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승패가 나지 않는 것입니다. 지난 2000년 대선당시 선거결과가 한달이상 확정되지 않으면서 S&P500 지수가 3% 이상 하락했던 악몽을 떠올리는 것입니다. 이에따라 월가는 "누가 되든 상관없다.확실히만 해다오"라는 분위기입니다. 우리 증시도 비슷한 반응입니다. 두 후보의 정책이 서로 상쇄되면서 어느 한쪽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것이 없다, 따라서 불확실성의 해소, 즉 승패가 확실히 나는 것이 가장 큰 호재라는데 대부분 공감하고 있습니다. 일단 오늘 새벽, 월가의 분위기는 케리의 승리를 점치고 있습니다. 월가에서 활동하는 인터넷 칼럼리스트인 맷 드러지의 코멘트, 드러지리포트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맷 드러지는 오전 출구조사 결과 케리 후보가 리드하고 있다고 보도했는데 이 소식이 전해지며 뉴욕증시는 상승세에서 보합권으로 급격하게 밀리더니 결국 하락마감했습니다. 유가도 50달러가 붕괴됐는데 이 또한 케리의 승리에 무게를 싣는 것입니다. 증시와 유가가 대선의 향방을 제대로 점친 것인지의 여부도 이번 대선에서 쏠쏠한 재미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앵커8] 두 후보의 정책에따른 한국경제 영향 분석해봤습니다. 이성경 기자 수고했습니다. 이성경기자 skle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