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08년 우리나라는 사교육비 부담이 작년의 절반으로 줄어들어 학부모들의 교육비 부담이 대폭 감소한다. 또 초등학교 취학전 아동의 55%에 보육비가 지원되며 전국민의 50%가 집주변에서 생활체육을 즐기게 된다. 농촌가구의 1인당 평균 소득은 도시 수준을 넘어서고 노인요양시설은 총수요의 60%를 충족할 정도로 확충된다. 정부는 14일 발표한 `2004~2008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5년뒤 분야별로 달라지는 한국의 미래상을 소개했다. 먼저 전국민의 관심사인 교육분야는 초.중등교육 투자가 올해의 22조7천억원에서 2008년 30조7천억원으로 대폭 늘어나 학급당 학생수가 감축되는등 교육여건이 크게 개선된다. 이 결과 사교육비 부담이 2003년 14조원에서 2008년 7조원으로 줄어든다. 이공계 대학(원)생 장학금은 작년 5천300명에서 2008년 2만1천200명으로 증가하고 대학의 연구능력도 강화돼 과학논문 게재 전세계 순위가 작년 14위에서 2008년 9위로 상승한다. 정보화 분야에서는 그동안 사각지대에 놓였던 65세 이상 노인과 기초생활보호대상자 등 취약계층을 위한 투자가 강화돼 취약층의 인터넷 이용률이 작년 19.7%에서 2008년 55.0%로 높아진다. 농가소득은 119조원의 농어촌지원 계획에 따라 지속적인 투자가 이뤄져 작년 2천700만원에서 2008년 3천600만원으로 높아지며 2013년에는 4천300만원에 도달한다. 농어촌관광, 다양한 산업 유치 등을 통한 농외소득의 비중은 작년 61%에서 2008년 64%, 2013년 67%로 높아진다. 세계일류상품 숫자는 중소기업 투자확대를 통해 작년 353개에서 2008년 1천개로늘어난다. 참여정부의 중점사업인 사회복지분야에서는 저출산, 고령화에 대비해 재정지출이 대폭 확대됨에 따라 유치원 취원 아동을 포함한 보육료 지원대상이 작년 19%에서 2008년 55%로 대폭 늘어난다. 노인요양시설도 확대돼 노인요양시설의 보호인원이 작년 2만5천명에서 2008년 5만8천명으로 늘어나 총수요의 60% 수준을 충족하게 된다. 임시.일용직의 고용보험 가입자수는 작년 720만명에서 2008년 1천만명으로 확대되며 생활체육 시설과 프로그램이 확충돼 생활체육참여율이 작년 33%에서 2008년 50%로 늘어난다. 지방대는 기업과 학교, 연구소를 연결한 취업프로그램을 활성화해 지방대 취업률이 작년 58%에서 2008년 70%로 높아지며 1인당 도시대비 농촌소득은 작년 96%에서2008년 104%로 도시를 넘어선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기자 dae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