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김선일 국정조사특위'는 30일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 등을 증인으로 출석시킨 가운데 청문회를 갖고 고 김선일씨 피랍 직후인 지난 6월3일 김씨 피랍 여부를 외교통상부에 문의한 AP통신 기자가 1명이 아니라 3명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위는 또 주 이라크 대사관이 김씨 피랍사실이 알 자지라 방송을 통해 알려진 다음날인 6월22일 '김씨가 납치돼 있는 3주 동안 무엇을 했느냐'는 비난 여론을 우려,'정확한 피랍일자를 당분간 알리지 말라'는 내용의 비문(秘文)을 외교부 본부에 보낸 사실도 확인했다.

이날 여야 의원들은 "김선일이라는 이름을 직접 언급했느냐""몇 번의 통화가 있었느냐"는 등 AP통신 한국지사가 외교부에 김씨 실종 여부를 문의한 통화내용에 대해 집중 질문했다.

이에 대해 국회로부터 동행명령장이 발부돼 뒤늦게 증인으로 출석한 서수경 AP통신 기자는 "외교부와 통화 중에 '김선일'이라는 이름을 직접 말한 적은 없다"면서도 "동료 기자로부터는 '김선일'을 거론한 적이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 "회사 동료인 최상훈,이수정 기자도 외교부에 문의했다"고 말했다.

반면 문의전화를 받은 외교부 정우진 외무관은 "서 기자와는 통화했지만 최 기자에 대해서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외교부 관계자는 KT의 통화내역 자료를 인용해 "6월3일 AP통신으로부터 4통의 전화가 걸려왔다"며 "이 중 정 외무관의 통화만 피랍 여부에 관한 문의였을 뿐 나머지 통화는 피랍과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해명했다.

열린우리당 우원식 의원은 "주 이라크 대사관이 '언론으로부터 납치날짜 확인을 요구받고 있지만 파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오니 본부에서 회신해주기 바란다'는 내용의 비문을 외교부 본부에 보내 '지침시달'을 요청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반기문 장관은 비문의 존재를 인정하면서도 고의적인 은폐는 아니라고 답변했다.

최명진 기자 lam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