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NLL(북방한계선)파문'과 관련, 여권 일각에서 조영길(曺永吉) 국방장관에 대한 조기 경질론이 대두됨에 따라 경질 문제를 신중히 검토중인 것으로 26일 알려졌다.

여권 고위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조 장관의 경우 이번 서해 NLL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과의 교신 보고누락 사건에 대해 책임져야 할 것"이라며 "이제 경질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조 장관의 경우 참여정부 출범때부터 장관을 지내 충분히 제 역할을 할 만큼 했다"면서 "`이 사람 아니면 안된다'는 절박한 이유가 있으면 몰라도 그렇지 않은 만큼 상황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다른 핵심관계자도 "대통령이 이번 파문에 연루된 일부 지휘관과 실무자에 대해경징계 지시를 내렸는데, 과연 그것으로 넘어갈 수 있겠느냐"며 "조만간 조치가 있을 것으로 안다"고 경질설에 무게를 실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상식적으로 볼 때 박승춘 합참 정보본부장이 자진 전역의사를 표명, 보직해임된 상황이기 때문에 다음 수순은 조 장관이 자신의 거취를 표명하는 것"이라며 "이른 시일내 사의를 표명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나 김종민(金鍾民) 청와대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여권 일각의 경질론 제기에 대해 "대통령의 최종 방침이 없는데 경질이라고 할 수 없다"며 "어떠한 방침도결정된게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인사권자인 대통령이 결심하기 전에 관계자들의 말만 듣고 인사기사를쓰면 오보가 될 수 있다"며 "다만, 내부 분위기에 대해 대변인으로서 언급하는 것은적절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은 이에 따라 국방부도 대상에 포함된 `김선일씨 사건'에 대한 감사원조사결과가 나오는 이번주중 최종 결론을 내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여권 일각에서는 감사원 조사결과 발표와 관계없이 조 장관이 조기에 사의표명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고일환기자 uni@yna.co.kr koman@yna.co.kr